홍콩에서 발행되는 주간 "아시아위크"는 최근호에서 "한국이 초고속인터넷의 중심지(그라운드 제로)가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잡지는 한국에서 인터넷 이용자가 이미 1천6백만명에 달했을 뿐 아니라 이용자 가운데 16%가 초고속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전하고 미국에서도 초고속 이용자는 3% 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는 정보통신강국을 겨냥하는 한국 정부의 목표가 결코 과장이 아님을 짐작케 해준다.

정보통신부는 지난 95년 초고속정보통신망구축계획을 수립해 추진중이다.

단기적으로는 "사이버코리아 21"이란 이름의 "지식기반국가 건설을 위한 비전"을 제시해 놓고 실행하고 있다.

목표는 2005년까지 한국을 세계 10위권의 지식정보강국으로 만드는 것이다.

정통부는 내년부터 5년동안 초고속정보통신망 3단계 사업을 추진한다.

이 기간에는 30조원을 들여 전국 어디서나 고속.고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방침이다.

전국에 걸쳐 초고속정보통신망을 구축함으로써 가정에서는 10Mbps급, 이동중에는 2Mbps급의 고속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 이 사업의 목표이다.

다시 말해 실내에서나 실외에서나 동영상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세계에서 컴퓨터를 가장 잘 쓰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키로 했다.

그 일환으로 1천만 학생과 90만 공무원, 60만 군인에게 컴퓨터와 인터넷을 가르치기로 했다.

또 정보화사회 낙오자가 생기지 않도록 내년에만 노인 군인 주부 장애인 등 4백만명에게 정보화교육을 실시키로 했다.

지식정보기반을 활용, 국가 전반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도 추진중이다.

정부부문의 경우 "작고 효율적인 전자정부"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자결재와 전자문서 유통을 활성화하고 주민 부동산 세금 등 각종 정보자원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활용하게 하며 웬만한 민원은 인터넷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선해 가고 있다.

초고속 정보 인프라를 활용해 신산업을 육성하고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고 정보제공사업 정보유통사업 소프트웨어산업 등을 육성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TV 시범서비스를 개시함으로써 방송의 디지털화에 착수했다.

또 이동통신 서비스를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 2002년 중반께 차세대 영상이동통신(IMT-2000)을 도입키로 하고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작업을 진행중이다.

김광현 기자 kh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