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예상 뛰어넘는 대접 받아…이런 호의 대만에 전달할 것" 대만 전·현직 최고지도자 중 처음 중국을 방문한 마잉주 전 총통은 28일 양안(兩岸·중국과 대만)에서 공히 존경받는 쑨원(孫文·1866∼1925)의 묘를 찾아 중국과 대만의 평화를 강조했다. 대만 매체 중국시보에 따르면 전날 상하이로 입국 후 난징으로 이동한 마 전 총통은 이날 난징 교외 쯔진산(紫金山)의 쑨원 묘인 중산릉에 참배한 뒤 쑨원 기념관을 참관했다. 마 전 총통은 쑨원 기념관 참관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부(쑨원)는 어릴 때부터 우상이었고, 국부가 중국에 한 공헌은 누구도 따라올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여정에 동행한 대만 청년들이 얻었으면 하는 것에 대해 질문받자 "양안은 반드시 평화를 향해 노력해야만 중화를 부흥시킬 수 있으며, 양안은 반드시 평화를 추구해야만 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양측 모두 앞날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마 전 총통은 또 "대륙(중국)이 예상을 뛰어넘는 대접을 하고 있으며 대륙의 친구들이 상당히 친절하게 맞아주는 것은 좋은 현상"이라며 "대만으로 돌아가면 이런 호의를 대만 사람들에게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1929년 완공된 중산릉에는 2005년 렌잔, 2008, 2009년 우보슝 등 대만 국민당 주석이 참배한 적이 있다. 대만 전현직 최고지도자 중에서는 이날 마 전 총통이 처음 중산릉을 참배한 것이다. 현재 대만 제1야당인 국민당 출신인 마 전 총통은 2008∼2016년 대만의 최고 지도자로 재임했다. 그는 재임 중 민진당 출신인 차이잉원 현 총통에 비해 온건한 대중국 정책을 폈고 2015년에는 싱가포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역사적인 양안 정상회
온두라스 정부가 외교관계를 끊은 대만에 30일 내에 대사관을 비우도록 27일(현지시간) 통보했다고 밝혔다. 안토니오 가르시아 온두라스 외무부 차관은 이날 현지 TV에 출연해 이렇게 밝혔다. 그는 30일은 "짐을 싸서 떠나는 데에 충분하고도 넘치는 시간"이라며 "(대만의) 질서있고 우호적인" 퇴장이 관계자들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온두라스가 중국에 외교 공관을 둬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중국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탐색하기 위해 거기(중국)에 가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온두라스에 약 100억 달러(13조 원)를 투자할 수도 있으며 이는 온두라스 근로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만 외교부 대변인은 퇴거 요구에 대해 30일이 "국제적 통례"라고 말했으나 다른 언급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시오마라 카스트로 대통령이 이끄는 온두라스 정부는 중국과의 외교관계 수립을 추진하겠다고 14일 밝힌 데 이어 25일 대만에 외교관계 단절을 통보했다. 보수 성향인 온두라스 제1야당은 만약 재집권하게 될 경우 중국과의 수교를 뒤집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중국은 대만이 중국 영토의 일부에 불과하며 대만이 다른 나라와 국가 대 국가의 관계를 맺을 권리가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중국 정부는 수교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받아들이는 것을 수교의 전제로 삼고 있다. 지난 25일 공식화된 온두라스-대만 단교 후 대만과 공식 외교관계를 맺은 나라는 교황청을 포함해 벨리즈, 에스와티니, 과테말라, 아이티, 나우루, 파라과이, 팔라우, 마셜제도, 세인트키츠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투발루 등 13개국으로 줄었다. 온두라
2014년 일본정부 견해 기술토록 검정기준 개정 이후 왜곡 심화 일본 문부과학성의 초등학교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독도에 대한 기술이 일본 정부 견해대로 수정된 것으로 28일 확인되면서 교과서 검정 제도의 문제가 다시 한번 드러났다. 일본문교출판은 6학년 사회 교과서 검정 신청본에서 독도를 '다케시마(竹島)'로 적으면서 '일본의 영토'라는 기존 표현을 사용했으나 검정 과정에서 '아동이 일본 영토에 대해 오해할 우려가 있는 표현'이라는 지적을 받고 '일본의 고유영토'로 고치고서야 검정을 통과했다. 일본 정부가 독도가 '한 번도 다른 나라의 영토가 된 적이 없다'는 의미에서 교과서에서 '고유'라는 표현을 쓰도록 한 방침이 적용된 것이다. 일본 정부는 2017년 초중학교 학습지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 해설서를 개정하면서 "다케시마가 우리나라(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사실을 다루고 다케시마가 불법으로 점거돼 있으며 우리나라가 대한민국에 반복해서 항의하고 있다는 것, 우리나라의 입장이 역사적으로도 국제법적으로도 정당하다는 것을 지도한다"는 지침을 내렸다. 일본의 교과서 검정제도는 교과서를 발행하는 출판사가 원고 단계의 교과서를 제출하면 문부과학성이 심사하는 제도다. 교육 경험이 있는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교과서 검정위원회가 학습지도요령에 근거해 교과서에 관련 내용이 기술돼 있는지 심사해 합격하지 않으면 교과서로서 학교 현장에 사용할 수 없다. 학습지도요령은 문부과학성이 법에 따라 학생에게 가르쳐야 할 최소한의 학습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검정 과정에서 교육 내용에 정부의 입김이 미칠 수 있다. 일본문교출판이 만약 독도 관련 기술에서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