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노동인구 660만 감소…제조업체 구인난 심화 춘제(春節·설) 연휴가 끝난 뒤 생산 시설이 밀집한 중국 연해 지역에서 인력 확보 경쟁이 치열하다고 매일경제신문 등 현지 매체가 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광둥성과 저장, 장쑤, 푸젠성 등 중국의 생산 거점인 동부와 남부의 연해 도시들이 춘제를 맞아 귀향했던 농민공들의 복귀와 신규 인력 확보전을 펼치고 있다. 춘제 이틀 뒤인 지난달 24일 광둥성 중산에서 출발한 4대의 대형 버스가 광시성 우저우에 도착, 가전업체 TCL의 에어컨 생산라인 인력 160명을 운송했다. 이는 춘제 이후 귀향 인력이 광둥성 산업 현장에 복귀한 첫 사례다. 지난달 26일에는 푸젠성 푸저우공항에 윈난에서 복귀한 노동자 238명을 태운 항공기가 도착했는데 이 항공기는 푸저우시가 생산 인력을 데려오기 위해 띄운 무료 전세기였다. 이날 장쑤성 우시시도 전세기로 윈난성 취징에서 120명의 노동자를 운송했다. 저장성 인사청은 지난달 28일 쓰촨성 광안에서 1천100여 명의 인력을 모집하는 채용 박람회를 열었다. 이 행사에는 항저우와 닝보, 원저우, 후저우 등 저장성 내 여러 도시에 소재한 기업들이 대거 참가했다. 닝보시는 하루 전인 27일 독자적으로 구이저우에서 관내 11개 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인력 확보를 위한 채용 설명회를 열었다. 지방정부들은 기업들의 인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지원에 나서고 있다. 채용 박람회 개최, 복귀 노동자 수송 전세기와 차량을 무료 제공하는 것은 기본이고 재정 지원에도 나섰다. 중국의 '기술 허브' 광둥성 선전은 다음 달 5일까지 외지에서 노동자 500명 이상 복직시킨 기업에 고용 인력 1인당 200위안(약 3만6천 원)씩 기업당 최
브렉시트로 英 경제·정치 잠식…"정치권 대응 더 굼떠져""국민투표 7년 지나도록 아무런 국가문제 해결 못해…사회 후퇴" 브렉시트를 단행해 유럽연합(EU)과 결별한 지 31일(현지시간)로 꼭 3년이 됐지만 영국은 이렇다 할 기념식 없이 조용히 하루를 보냈다. 경제 전망도 어둡고 사회문제도 내부에 첩첩이 쌓여 있어 떠들썩한 팡파르를 울릴 분위기가 전혀 아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영국의 현재 경제 사정은 다른 유럽 주변국보다 더 좋지 않다. 이처럼 영국이 EU 주변국보다 경제위기로 더 큰 고통을 받는 것은 다름아닌 브렉시트가 단초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아넌드 메넌 킹스칼리지런던 교수는 "우리 경제가 취약해진 원인 중 하나가 브렉시트"라며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아니겠지만, 브렉시트로 모든 것이 정치적 문제가 됐다. 이젠 경제 논의마저 정치를 통해야 할 판"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영국의 올해 경제 전망은 어둡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주요국 중 유일하게 영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마이너스(-0.6%)로 예상했다. IMF는 온갖 경제 제재를 두들겨 맞은 러시아마저 플러스(0.3%) 성장을 예상했다. 브렉시트가 이런 부진의 일부 요인이라고 IMF는 분석한다. 영국에서 최근 노동력 공급 상황이 빠듯한 것도 EU를 탈퇴한 이후 해외 노동력 유입이 더욱 까다로워졌기 때문으로 지적된다. NYT는 브렉시트의 불똥으로 식당 웨이터부터 논밭의 농부까지 일손이 부족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메넌 교수는 "(브렉시트 국민투표가 진행된) 2016년 이후 정부 행정력이 아무런 힘을 쓰지 못했다"며 "벌써 7년이 지났는데도 정부 층위에서 국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놓은 것이
러시아 극동 연해주에 있는 군수 기업이 우크라이나 특별 군사작전에 투입할 무인항공기(드론) 대량 생산에 나선다고 31일(현지시간) 스푸트니크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해주 있는 한 군수업체는 우크라이나군이 배치된 작전지역에 탑재한 무기 등을 투하할 수 있는 무게 1.5㎏의 드론을 대량 생산할 예정이다. 현재 해당 드론 45대를 생산했으며, 60∼100대가량을 추가로 만들 계획이다. 이 업체는 또 연해주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최신 기종 드론도 매달 최대 30대씩 생산할 준비를 하고 있다. 이날 유리 트루트네프 러시아 부총리 겸 극동전권대표와 알렉세이 체쿤코프 러시아 극동·북극 개발부 장관, 올레크 코제먀코 러시아 연해주 주지사는 해당 군수 기업을 방문해 생산 시설 등을 점검했다. 코제먀코 연해주 주지사는 "우크라이나 특별 군사작전 지역을 찾아 이곳에서 생산한 드론을 러시아군에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