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실리콘밸리 한복판 스탠퍼드대학 인근에 대규모 사무실을 마련 중이라고 닛케이아시아가 지난 3일 보도했다. 이 사무실은 테슬라가 AI 관련 인재들을 채용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닛케이에 따르면 지난달 말 스탠퍼드대 랜드마크 건물인 후버타워가 보이는 큰 길가에 위치한 대형 사무실 건물 입구에 테슬라 간판이 들어섰다. 이 건물은 2층으로 5만2885㎡(약 1만6000평) 규모이며 스탠퍼드대 정문에서 차로 약 4분 거리다. 2019년까진 HPE(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 본사가 있던 곳이었다.이 건물을 소유한 부동산 회사는 중개인을 통해 테슬라의 임대 의향서를 받았고 아직 계약을 체결하진 않았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건물 공간의 절반 이상(2만9700㎡·약 8984평)을 임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닛케이의 확인 질문에 테슬라는 답하지 않았다.2021년 테슬라는 본사를 캘리포니아주 팰로 알토에서 텍사스주 오스틴으로 옮겼지만, 회사의 AI 팀은 여전히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두고 있다. 테슬라는 이 팀을 위해 2021년 가을 HP로부터 실리콘밸리의 건물 몇 동을 임대했다. 약 3만㎡(약 9000평) 규모의 사무공간에서 인간형 로봇 옵티머스와 자율주행 AI를 가상공간에서 훈련하는 슈퍼컴퓨터 도조(DOJO)가 개발 중이다.테슬라의 새 사무실 계획은 자율주행 및 AI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서다. 이 회사는 지난달 말 홈페이지에 팰로 알토에서 일할 700개 이상의 직책에 대한 구인 광고를 게재했다. 이 중 423개(55%)는 기술 및 IT 일자리다. 자율주행 및 로봇 관련 직책도 74개에 달했다.테슬라의 이전 본사 건물은 팰로 알토 시내에서 떨어진 산간 지역에 있다. 닛케이는 스탠퍼드대 인근 대로변에 있는 새
소셜미디어에 육안 관측담·동영상 봇물 터지듯 "마침내!! 잘가라"…환호 속 자국 안보허점 비판하기도 미국 동부 해안 주민들이 4일(현지시간) 중국 정찰풍선 격추 장면을 맨눈으로 지켜보며 환호성을 터뜨렸다. 이날 미국은 사우스캐롤라이나 해안 영공에서 중국의 고고도 정찰풍선을 공대공 미사일로 격추했다고 밝혔다. 미사일은 F-22 스텔스 전투기가 발사했고, 이밖에도 매사추세츠 주방위군 소속 F-15 전투기를 포함, 오리건·몬태나·사우스캐롤라이나·노스캐롤라이나 등의 군용기 다수가 작전에 참여했다. 문제의 정찰 풍선은 격추 당시 1만8천∼2만m 높이에 떠 있었다. 깨알 같은 크기지만 육안으로 충분히 관측할 있는 높이다. 실제로 유튜브, 트위터 등에서 시민들은 격추 장면을 촬영한 동영상을 마치 에어쇼 관람 후기처럼 잇따라 올렸다. ABC방송 산하 필라델피아 지역방송국이 유튜브에 공개한 동영상에서 시민들은 전투기가 풍선을 격추하는 순간에 짜릿한 감정을 그대로 드러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머틀비치에서 촬영된 다른 동영상에서는 시민들이 "잡았다! 쾅!", "그래야 우리 공군이지" 등의 소리를 지르며 박수를 쳤다. 트위터에서도 '중국 스파이 풍선' 해시태그를 단 게시물이 시간당 1만여건 이상 쏟아졌다. 이용자들은 격추 동영상·관련 기사 등을 올리며 "마침내!!", "잘 가라"라는 등 속이 후련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일부는 이번 사태로 미국의 안보 허점이 드러난 것 아니냐는 우려의 시선을 보내기도 했다. 미군의 격추 관련 브리핑을 실시간으로 전달한 폭스뉴스 유튜브 채널의 한 이용자(nasairsoft6528)는 "어떻게 풍선이 우리 영공으로 이렇게나 깊이 들어올 수 있었는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