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실업난 속 대중 강경론 먹혀…부패 타파 공약도돈독한 양국 관계상 일각서 '공염불' 관측도 중국 자본이 깊숙이 침투한 아프리카 케냐에서 반중 기치를 내건 윌리엄 루토 현 부통령이 신임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경제투자 측면에서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던 양국 관계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케냐 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간) 치러진 대선에서 현 부통령인 루토 후보가 50.49%의 득표율로 오랜 야당 지도자 출신의 라일라 오딩가 후보를 누르고 승리했다고 15일 밝혔다. 대중 정책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이번 선거에서 루토 당선인은 대중 강경론을 강조하며 오딩가 상대 후보와 차별화를 꾀했다. 친중 정책을 폈던 우후루 케냐타 현 대통령이 지지한 오딩가 후보는 당선되면 상환기간이나 이자를 조정하는 등 대중 대출을 손보겠다고 약속했고 루토 당선인은 중국에 더는 돈을 빌리지 않겠다며 한층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루토 당선인은 2017년 중국의 대규모 자금으로 완공된 표준궤도철도(SGR) 계약서를 국민에 공개하기도 했다. SGR는 수도 나이로비와 몸바사 항구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이지만 막대한 적자운영으로 애물단지가 됐다. 루토 당선인은 더 나아가 높은 실업률에 직면한 케냐에서 자국민 일자리를 빼앗는 불법 체류 중국인을 내쫓겠다고도 공언했다. 당면한 케냐의 부채와 생활고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된 차기 대통령 후보로서 중국의 책임론을 꺼내 들며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 중국은 일대일로 사업 일환으로 케냐 기간시설 등에 자금을 대면서 세
러시아 외교문서에서 드러난 정황…"태평양 출입구 확보 원해" 소련이 제2차 대전 종결 때 일본 홋카이도와 함께 부산과 제주 등의 점령을 검토했음을 보여주는 문서가 발견됐다. 16일 요미우리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외교정책문서관이 온라인으로 공개한 문서의 내용을 아사다 마사후미 이와테대 교수가 확인했더니 소련이 2차 대전 종결 때 점령지로 검토한 지역에 홋카이도와 함께 한반도 남부 일부 지역도 포함됐다. 연합국의 점령지 분할과 관련해 소련 측이 작성한 문서에 이런 정황이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1945년 8월 27일 니콜라이 보로코브 소련 해군 군령부 국제법부장이 작성한 문서는 "해군으로서는 일본의 다음 지역의 관리에 관심이 있다"면서 남사할린, 쿠릴열도, 홋카이도, 한반도 북부, 부산항, 쓰시마(對馬·대마도)를 열거했다. 홋카이도 전체가 소련의 점령지가 되면 사할린과 홋카이도 사이의 소야 해협과 일본 혼슈와 홋카이도 사이의 쓰가루 해협은 물론 하코다테, 오타루, 무로란 등 홋카이도의 항구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내용도 기재됐다. 니콜라이 슬라빈 소련 적군 참모본부 특별부장이 같은 해 8월 29일 작성한 보고서에는 소련이 북위 38도 이북의 한반도를 점령하는 형태로 연합국이 양분하고, 소련의 개별 점령지로 제주와 쓰시마를 포함해야 한다는 제언이 담겨 있었다. 이에 대해 아사다 교수는 "소련 군부는 태평양의 출입구가 되는 해역에서 항행의 자유로 이어질 전략적 거점을 모두 확보하고 싶어했다"고 분석했다. 1945년 8월 16일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총리가 홋카이도의 절반을 소련 점령지로 할 것을 미국에 요구했는데, 이런 요구의 초안이 된
지난해 8월 15일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을 함락시키고 20년 만에 재집권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후 탈레반은 과도 내각을 세우며 샤리아(이슬람 율법)에 입각한 국가 건설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지난 15일에는 탈레반 대원과 지지자들이 카불 등에서 행진하며 재집권 1년을 자축했습니다. 여성 등의 인권은 여전히 무시되고 있고 국제사회의 우려도 계속되고 있지만, 이들의 얼굴엔 자신들만의 나라를 세운 기쁨과 자신감이 가득해 보입니다. 탈레반 지지자들은 카불 시내에서 공항으로 가는 길가의 가로등과 시내 중심가에 탈레반 상징 깃발을 내걸었습니다. 일부는 광장에 모여 "독립 만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리트(탈레반 정부) 만세"를 외쳤으며, 하늘을 향해 총을 쏘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탈레반 정부는 미군의 점령에 맞서 승리한 날이라며 15일을 공휴일로 지정했습니다. 기쁨에 겨운 탈레반 대원은 상징 깃발에 입을 맞추거나 깃발을 몸에 두르고 행진하기도 했습니다. 앳된 얼굴의 소년들도 총을 들고 자축 행렬에 가세했습니다. 노획한 군용차 위로 탈레반과 지지자들이 잔뜩 올라탄 모습도 보입니다. 미국 대사관 앞으로도 사람들이 몰려들었습니다. 탈레반 대원에게 과자 등을 주며 지지하는 시민의 모습도 보입니다. 탈레반은 아프간을 다시 장악한 후 여성 인권 존중, 포용적 정부 구성 등 여러 유화책을 발표했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실정입니다 특히 올해 들어 여성 인권은 크게 후퇴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등교가 여전히 금지됐고, 여성에 대해서는 외출 시 얼굴을 모두 가리는 의복 착용도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