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로 인해 인도와 파키스탄의 폭염 발생 빈도가 30배가량 잦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4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다국적 기후 연구단체인 WWA(World Weather Attribution)는 전날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자 중 한 명인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 그랜섬 연구소의 프리데리케 오토는 온실가스 배출 등으로 인한 기후변화 이전에는 인도·파키스탄의 지난 3∼4월 '봄철 폭염' 같은 사건 발생 가능성이 약 3천 년에 한 번꼴이었는데 이제는 빈도가 100년에 한 번으로 짧아졌다고 말했다.
오토 등 연구진은 산업화 이전보다 기온이 1.2도 높아진 지구 온난화가 이런 상황을 유발했다고 설명했다.
오토는 "기후변화는 폭염과 관련해 진정한 '게임체인저(game changer)'"라며 "만약 지구의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2.0도 더 높아진다면 폭염 빈도는 더 잦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봄철 폭염 같은 날씨가 5년에 한 번꼴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인도와 파키스탄의 지난 수십 년간 3∼4월 기온과 지구 온난화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의 상황을 가정해 비교 분석했다.
앞서 영국 기상청도 최근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 탓에 인도와 파키스탄이 기록적 폭염을 겪을 가능성이 100배 높아졌다고 밝힌 바 있다.
기상청은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2010년 4∼5월과 같은 기록적인 폭염이 찾아올 가능성은 312년에 한 번꼴이었지만 기후변화를 참작했을 때는 이 확률이 3.1년마다 한 번꼴로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비교 시점을 2010년 4∼5월의 평균 기온으로 잡았는데 이는 해당 지역에서 1900년 이후 평균 최고 기온을 기록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인도와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는 4월 중하순부터 여름이 시작되며 5월 기온이 최고 50도에 육박할 정도로 가장 높다.
6월부터는 남부부터 차례로 몬순 우기로 접어든다.
5월이 한여름에 해당하는 셈이다.
그런데 올해는 인도의 경우 3월 평균 최고기온이 33.1도로 1901년 기상 관측 이후 121년 만에 가장 높았다.
4월 평균 최고 기온도 35.1도로 기상 관측 이래 4번째로 높았다.
파키스탄에서는 4월에 이미 47도까지 오른 곳이 나왔다.
이런 폭염으로 인해 양국에서는 90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히말라야 빙하가 녹으면서 파키스탄 북부에서는 홍수가 발생하는 등 피해가 이어졌다.
다만, 두 나라는 5월 들어서는 대체로 평년 기온을 되찾은 분위기다.
전 세계에서 제일 더운 도시 중 하나인 파키스탄의 신드주 자코바바드가 15일 51도까지 치솟았고, 같은 날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일부 지역이 49도를 넘어서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그 외 5월 기온은 예년과 비슷한 상황이다.
실제로 뉴델리와 파키스탄 수도 이슬라마바드의 최근 하루 최고 기온은 30도 중후반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1280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인기 크리에이터 테크노블레이드가 암투병 끝에 세상을 떠난 것으로 전해졌다. 향년 23세.2일(현지시간) UPI통신, 미국 공영방송 NPR 등은 지난달 30일 테크노블레이드가 사망했다고 보도했다.테크노블레이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게임인 마인크래프트를 플레이하는 콘텐츠로 인기를 얻은 크리에이터로, 지난해 8월 암 투병 사실을 공개했다.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마지막 영상의 제목은 '잘 있어 너드들아'다.'너드'는 영어권에서 게임·애니메이션 등 특정 분야에 열광하는 괴짜들을 지칭하는 말로, 한 분야에 열광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덕후'와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이 영상에는 테크노블레이드의 아버지가 나와 아들의 실명이 '알렉스'라고 처음 공개했다. 이어 테크노블레이드가 세상을 떠나기 8시간 전에 메시지를 남겼다면서 아들의 메시지를 대신 읽기 시작했다.테크노블레이드는 "이 영상을 보고 있다면 나는 이미 사망했다"면서 "백 번의 삶이 있더라도 매번 테크노블레이드가 되는 것을 택했을 거다.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이었기 때문이다"고 했다.현재 해당 동영상은 조회수 5000만 이상을 기록 중이며, 100만건 이상의 추모 댓글이 달렸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인공지능(AI) 등 차세대 프로그래밍 경쟁력에서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도 선두권에서 치열한 순위 경쟁을 이어갔다. 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010~2021년 국제정보올림피아드 성적을 집계한 결과 중국은 지난 12년간 총 40개의 금메달을 따내 1위에 올랐다. 34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미국을 꺾고 6개 차이로 제쳤다. 러시아가 금메달 32개로 3위였고, 한국과 일본이 20개로 공동 4위였다. 이란(금메달 17개) 대만과 폴란드(각각 13개) 불가리아(12개) 루마니아(11개)가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은매달 8개를 추가한 중국은 전체 메달수에서도 48개로 러시아와 함께 1위였다. 은메달 9개, 동메달 1개를 따낸 미국의 전체 메달수는 44개였다. 한국과 일본은 전체 메달수도 47개로 같았다. 일본은 은메달 23개, 동메달 4개, 한국은 은메달 19개, 동메달 8개를 따냈다. 은메달 26개, 동메달 5개로 총 48개의 메달을 딴 이란의 경쟁력도 만만치 않았다. 국제정보올림피아드는 중고교생이 참가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프로그래밍 대회다. 수학, 물리, 화학 등에 이어 유네스코(UNESCO)가 5번째로 후원하는 중고생 과학경진대회다. 1989년부터 매년 개최되며 80개국 이상이 참가한다. 4회 대회부터 참가한 한국은 2002년 국제정보올림피아드를 개최했다.대회는 두차례에 걸쳐 5시간 동안 3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C언어와 파이썬 등 프로그래밍 언어를 얼마나 빨리 정확하게 사용해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지로 득점을 경쟁한다.중국의 AI 경쟁력이 앞서나가는 비결은 어린 시절부터 프로그래밍 교육을 시키기 때문이라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국제 프로그래밍 대회
러, 루한스크주 전역 장악…전쟁 목표 일부 달성러, 도네츠크서도 공세 박차…젤렌스키 "美지원 장사정병기로 반격할 것" 러시아군과 친러 분리주의 세력에 이어 우크라이나군도 3일(현지시간) 동부 루한스크주(州) 최후 거점인 리시찬스크를 러시아 측에 빼앗긴 사실을 확인했다. 다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술적 후퇴일 뿐이라면서 신형, 장사정 무기를 확보하는 등 준비가 되는 대로 탈환전에 나설 것이라고 국민에 약속했다. 영국 BBC 방송과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은 이날 오후 러시아군이 리시찬스크를 장악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군 당국자는 "거센 전투 끝에 우크라이나군이 기존에 차지했던 거점과 전선에서 부득불 물러나게 됐다"면서 포병·항공 전력은 물론 병력에서도 열세인 까닭에 "병사들의 생명을 보전하기 위해 철수를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러시아는 루한스크주 전역을 장악하게 됐다. 러시아가 올해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당시 친러 분리주의 세력이 장악한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루한스크·도네츠크) 지역의 러시아계 주민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웠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쟁 목표 중 일부를 달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당초,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단기간에 점령하려 했지만 졸전 끝에 패퇴하자 루한스크와 도네츠크 전 지역의 '해방'으로 목표를 재설정한 상황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루한스크에서의 싸움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밤 화상 연설을 통해 "리시찬스크에서처럼 적의 화력이 훨씬 우세한 전선의 특정 지점에서 우리 군 지휘관들이 병력을 후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