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년 만에 구제역 발병…가축 소비량 급감대규모 인파 몰리는 행사 예정…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이슬람 최대 축제 중 하나인 이드 알 아드하(희생제)를 앞두고 전세계에서 무슬림이 가장 많은 나라인 인도네시아에 구제역이 발병하고 코로나19 확진자도 증가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7일 일간 콤파스와 안타라 통신 등 현지 언론과 외신 등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에서는 지난 5월 이후 21개 주에서 31만7천 마리가 넘는 가축이 구제역에 걸렸다. 인도네시아에서 구제역이 발병한 것은 1986년 이후 약 36년 만이다. '희생의 축제'로 불리는 이드 알 아드하는 아브라함이 아들을 희생물로 바치라는 신의 말씀을 실행에 옮기려 하자 신이 이를 멈추게 하고 양을 대신 제물로 바치도록 허락했다는 쿠란 내용에서 유래했다. 무슬림은 이날을 기념해 가축을 잡아 제사를 지낸 뒤 가난한 사람들에게 고기를 나눠준다. 이슬람력에서 주요 명절 중 하나로 올해는 7월 9일이다. 하지만 구제역이 창궐하면서 소비자들이 구제역에 걸린 가축을 먹을까 걱정돼 소비를 꺼리고 있다. 서부 자바에서 가축 거래를 하는 자말 롤레이는 "코로나 이전에는 희생제를 앞두고 소를 330마리까지 팔았고 코로나 기간에도 170마리 정도 판매했지만, 올해는 겨우 50마리만 팔았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이 때문에 인도네시아 정부도 가축 소비 증진을 위해 구제역이 사람에겐 옮기지 않으며 열에 가할 경우 구제역 세균도 모두 죽는다며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하는 것도 인도네시아 정부가 우려하는 점이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이 BA.4와 BA.5가 확산하면서 확진자 수가 다시 늘어나는 상황에서 희생제를 맞아
블룸버그 "흑해∼카자흐 송유관 중단 명령, 유럽 겨냥한 것"카자흐 주요 수출국, 이탈리아·프랑스·네덜란드 등 카자흐스탄 서부와 흑해를 연결하는 송유관 가동을 잠정 중단하도록 한 러시아 법원 명령이 서방 제재에 맞선 러시아의 보복 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 블룸버그 통신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며 경제적 압박을 가하는 서유럽 국가에 대항해 이 같은 결정을 이끌어냄으로써 카자흐스탄 원유를 무기화했다고 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노보로시스크 법원은 카스피 송유관 컨소시엄(CPC)에 대해 지난해 발생한 기름 유출 사고 대처를 문제 삼아 한 달간 송유관 가동을 멈추라고 명령했다. 카스피 송유관은 카자흐스탄 텐기스에서 시작해 러시아 아스트라한, 크로폿킨을 거쳐 노보로시스크 인근까지 이어진다. 총길이는 약 1천500㎞이다. 컨소시엄 지분은 러시아 정부가 가장 많은 24%를 보유했고, 러시아 에너지 회사 루크오일도 12.5%를 소유했다. 카자흐스탄 국영 기업인 카즈무나이가스는 지분 19%를 갖고 있다. 송유관 가동 중단 명령이 실행되면, 직격탄을 맞는 나라는 러시아가 아닌 카자흐스탄이라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또 카자흐스탄으로부터 원유를 수입하는 서유럽 국가도 피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최대 산유국으로, 주요 원유 수출국은 이탈리아·네덜란드·프랑스 등이다. 블룸버그는 "러시아 원유가 카스피 송유관 이동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0% 정도이며, 러시아는 쉽게 다른 운반 경로를 찾을 수 있다"며 "카자흐스탄은 원유 수출량의 80%를 큰 비용 지출 없이 카스피 송유관으로 보냈는데, 의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공보 참모들의 이탈이 이어지고 있다. 케이트 베딩필드 백악관 공보국장도 3년 만에 자리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백악관은 6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베딩필드 공보국장이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이달 안에 사임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베딩필드 공보국장은 2020년 대선 당시 바이든 대통령 캠프에서 선대부본부장을 지낸 뒤 같은 해 백악관 공보국장으로 임명됐다. 론 클레인 백악관 비서실장은 성명을 통해 베딩필드 국장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의 부통령 시절부터 선거운동을 거쳐 백악관에 온 이후까지 모든 면에서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가 가진 전략적인 감각, 대통령 의제에 대한 열정적인 헌신, 대통령을 대표하는 치열한 노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말했다. 최근 백악관에서는 주요 공보 참모들이 줄줄이 자리를 떠나고 있다. 주요 인사로는 젠 사키 전 백악관 대변인이 5월 사임하고 MSNBC 방송 진행자로 자리를 옮겼고, 지난달 마이크 그윈 신속대응국장도 백악관을 떠났다. 베딩필드 공보국장의 사임을 두고 일각에서는 11월 중간 선거를 앞두고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AFP통신은 바이든 정부가 연방대법원의 낙태권 폐기 판결부터 인플레이션에 이르기까지 여러 난관에 부딪힌 가운데 민주당이 정부의 메시지 전략에 불만을 제기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