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이전은 아냐"…중 '반도체 자급' 활용 의도 드러내 해당 조건 위반 땐 반독점법으로 '처리' 예고
중국 정부가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부 인수를 승인하면서 '다른 경쟁사의 시장 진입을 도우라'는 조건을 단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측은 기업급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시장 진입을 원하는 자국 기업에 SK하이닉스가 안정적 낸드 물량을 공급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중국 정부가 인수 승인을 지렛대 삼아 자국의 '반도체 자급' 확대를 도모하려 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22일 인수를 승인하면서 6개의 조건을 내걸었는데 이 중 '타기업 지원' 조건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국은 공고에서 "한 개의 제3 경쟁자가 기업급 솔리드 SSD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요구했다.
SSD는 낸드를 이용한 저장 장치로 자기 방식 저장 장치인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는데 SK하이닉스가 인수하기로 한 중국 다롄(大連) 소재 인텔의 팹(반도체 생산 공장)은 주로 기업 고객을 상대로 한 SSD를 제조하는 곳이다.
중국은 공고에서 '제3 경쟁자'가 어느 기업이 될 것인지에 관해 구체적 언급을 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중국이 미중 '기술 전쟁' 속에서 반도체 자급에 사활을 걸고 있는 점에 비춰보면 중국 기업의 SSD 시장 진출을 도우라는 조건을 단 것으로 보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 말고 다른 나라 기업을 도우라고 이런 조항을 넣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 조항은 중국 기업 지원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는 "저사양 낸드 제품을 제조하는 중국 기업이 있고, 이 회사가 고사양 낸드 제품을 기반으로 한 기업용 SSD 시장에 진입하고자 한다"며 "향후 해당 기업이 고사양 SSD를 만드는데 필요한 낸드 제품 공급을 당사로부터 지속 공급받기를 원하고 있는데 메모리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물량을 공급받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며 "당사와 인텔이 보유한 SSD 기술이 이전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세계 반도체 업계에서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처럼 자체적으로 생산한 낸드로 SSD까지 만드는 업체도 있고, 타사에서 낸드를 공급받아 이를 기반으로 SSD를 만드는 업체도 있다.
기업 고객을 상대로 한 SSD의 가장 큰 소비처는 대량의 서버가 들어가는 데이터센터다.
중국은 작년부터 경기 부양을 위한 '신 인프라' 차원에서 데이터센터 건설을 적극적으로 독려 중인데 데이터센터 내 서버의 저장 장치로 SSD가 쓰이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중국에서 현재 낸드 시장에서 그나마 존재감이 있는 업체는 '중국의 반도체 항모'로 불리는 칭화유니(淸華紫光) 산하의 낸드 제조사인 YMTC(長江存儲) 정도다.
다만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SK하이닉스에 지원을 요구한 업체는 YMTC는 아닌 규모가 더 작은 업체인 것으로 전해졌다.
SSD는 일반 낸드보다 더욱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
SSD는 양산형 낸드에 데이터 교환 작업을 통제하는 컨트롤러라고 하는 정교한 부품을 결합해 만드는데낸드를 아무리 많이 생산해도 난도가 높은 컨트롤러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SSD 시장에 진출할 수 없다.
SK하이닉스 역시 SSD 사업 초기 컨트롤러 기술 확보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당국이 내건 다른 조건들도 시장경쟁 제한을 막는 것과 함께 자국의 반도체 수급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차원의 것들로 평가된다.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 향후 5년간 다롄 공장 생산량 지속 확대 ▲ 승인일 기준 과거 24개월 평균가 이상 판매 금지 ▲ 공평·합리·비차별 원칙으로 중국 시장에서 모든 상품 공급 등 조건을 요구했다.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SK하이닉스가 이 같은 승인 조건을 위반할 때는 반독점법에 따라 처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중 신냉전 속에서 반도체는 중국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으로 손꼽힌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서버에 들어가는 AP와 중앙처리장치(CPU) 같은 비메모리 반도체에서부터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반도체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반도체 제품을 수입에 의존한다.
작년 중국의 반도체 수입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3천800억 달러(약 453조원)에 달했다.
이는 작년 중국의 전체 수입액 중 약 18%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화웨이(華爲) 제재 사례가 보여준 것처럼 미국은 중국의 '반도체 아킬레스건'을 집요하게 공략하면서 중국의 첨단 반도체 개발 속도를 저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자국 반도체 산업의 기술 자급률을 최소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SMIC 등 여러 반도체 기업들의 성장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중심가의 외교부 인근에서 27일(현지시간)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 6명이 사망했다고 현지 경찰이 밝혔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카불의 외교부 청사로 이어지는 말리크 아즈가르 광장 검문소 부근에서 강력한 폭발이 발생했다. 할리드 자드란 카불 경찰 대변인은 "검문소에서 자폭범이 발각돼 사살됐지만 이 과정에서 폭탄이 터졌다"며 "이로 인해 민간인 6명이 숨졌고 치안 병력 3명 등 여러 명이 다쳤다"고 말했다. 이탈리아 비정부기구(NGO)가 현지에서 운영하는 병원 측은 이 폭발로 부상자 12명과 시신 2구가 이송됐다고 밝혔다. 공격의 배후를 자처한 단체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최근 아프간에서 발생하는 폭탄 테러의 상당수는 극단주의 테러 집단 이슬람국가(IS)가 주도하고 있다. IS는 지난 1월에도 아프간 외교부 청사 인근에서 20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자폭 테러를 감행했다. 이달 초에는 북부 마자르-이 샤리프에서 주지사를 겨냥한 자폭 테러도 저질렀다. IS와 탈레반은 같은 이슬람 수니파 계열이지만 관계가 매우 나쁘다. IS는 미국과 시아파 등을 대하는 탈레반의 태도가 온건하다고 비난해왔으며 2021년 8월 탈레반 재집권 후 테러 수위를 더욱 높이고 있다. /연합뉴스
영국 해리 왕자가 27일(현지시간) 타블로이드지를 상대로 제기한 불법 정보수집 의혹 소송과 관련해 법원에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로이터통신과 BBC 등 영국 언론은 해리 왕자가 런던 법원의 예비심리에 참석했으며, 경호원들과 함께 나타나서 기자들의 질문에 '굿모닝'이라고만 답을 했다고 보도했다. 해리 왕자 귀국은 지난해 할머니인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례식 이후 처음으로, 해리 왕자가 이 소송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보여준다고 BBC가 전했다. 텔레그래프지는 이번 방문 중 아버지 찰스 3세 국왕과 형 윌리엄 왕세자와의 만남은 이뤄지지 않을 것 같다고 전했다. 왕실 관계자는 이날 이들이 모두 런던에 없다고 말했다. 이번 소송은 해리 왕자와 가수 엘튼 존 부부, 배우 엘리자베스 헐리, 사디 프로스트 등 유명인 7명이 작년 10월 데일리 메일 등의 모회사인 '어소시에이티드 뉴스페이퍼스(ANL)'를 상대로 제기한 것이다. 해리 왕자 측 변호인은 데일리 메일 등이 불법 정보 수집으로 사생활을 침해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구체적으로는 ▲ 사설 탐정을 고용해서 집과 차에 도청 장치를 설치한 뒤 통화 내용을 녹음 ▲ 내부 민감한 정보를 위해 경찰에게 돈을 줌 ▲ 의료 정보를 사기로 받아냄 ▲ 불법 수단과 조작으로 금융 거래 명세와 신용 이력에 접근 등이다. 변호인은 소송 제기 당시 성명에서 "원고들은 끔찍한 범죄 활동과 사생활 침해로 인해 피해를 봤다는 명백한 증거를 확인하고 소송을 냈다"고 말했다. 반면 데일리 메일 모회사 측은 당시 성명에서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법원은 앞으로 4일간 심리를 하고 소송 기각 여부를 결정한다. /연합뉴스
동아프리카 말라위에 한국 기업인이 세운 대양대학교가 최근 제8회 졸업식을 열고 11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27일(현지시간) 대양대학교에 따르면 말라위 수도 릴롱궤 외곽에 있는 대양대 캠퍼스에서 지난 24일 제8회 졸업식이 열렸다. 낸시 챠올라 말라위 교육부 부장관과 정유근 이사장 등이 참석해 간호대 53명, 정보통신기술(ICT)대 57명 등 졸업생 110명을 격려했다고 대학 측은 전했다. 해운회사 대양상선의 정유근 회장은 아프리카 최빈국 중 하나인 말라위에 사재를 털어 2008년 대양누가병원과 2010년 대양간호대를 각각 설립했다. 이후 2014년 ICT대학이 출범하며 종합대학인 대양대학교로 발돋움했고, 지난해 경영대학이 추가로 설립됐다. 2015년 설립한 의과대학은 국립대학인 말라위 대학으로 통합·이전을 추진 중이다. 대양대는 인재 양성을 위해 고려대를 비롯한 세계 유수 대학들과 매년 교환학생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