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재임 기간 15년 2개월의 이스라엘 역대 최장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71)의 실권이 현실화했다.
2일(현지시간) 일간 하레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 퇴진을 기치로 내건 '반네타냐후 블록' 9개 정당이 연립정부 구성에 최종 합의했다.
지난 3월 총선에서 원내 제2당이 된 중도 성향의 예시 아티드(17석), 중도 성향의 청백당(8석), 중도 우파 성향의 '이스라엘 베이테이누'(7석), 좌파 성향의 노동당(7석), 우파 성향의 '뉴 호프'(6석), 아랍계 정당 연합 '조인트 리스트'(6석), 사회민주주의 계열의 메레츠(6석), 극우 성향의 야미나(7석), 아랍계 정당 라암(4석) 등이 연정에 참여했다.
9개 정당이 보유한 의석 수는 모두 68석으로 크네세트(의회) 전체 의석수 120석의 절반이 넘는다.
이들 정당은 제삼지대에 있던 야미나가 지난달 31일 연정 참여를 선언한 이후 마라톤협상을 통해 마감 시한을 약 1시간 앞두고 극적인 합의를 끌어냈다.
막판엔 역시 제삼지대에 머물던 아랍계 정당인 라암까지 합류하면서 세가 더욱 커졌다.
연정을 주도하는 TV 앵커 출신의 예시 아티드의 야이르 라피드 대표는 성명을 통해 레우벤 리블린 대통령에게 연정 타결 사실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1주일 이내에 실시되는 의회 신임 투표 절차만 거치면 이들 정당이 참여하는 '거국 연정'이 공식화한다.
사전 합의에 따라 차기 정부 임기 전반기 총리직은 야미나의 나프탈리 베네트(49)대표가, 외무장관직은 라피드 대표가 맡는다.
국방부 장관은 네타냐후 주도의 연정에 참여해 국방부 장관직을 맡아온 청백당의 베니 간츠 대표가 계속 맡기로 합의했다.
반면, 원내 제1당인 리쿠드당(30석)을 중심으로 우파 연정을 꾸리려다 실패한 네타냐후 총리는 2009년 3월 31일 재집권한 이후 12년 2개월(과도정부 총리 재직기간 포함)간 유지해온 총리직을 내려놓게 된다.
더욱이 네타냐후는 수뢰, 배임, 사기 등 부패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어, 총리직에서 물러난 이후 보호막 없이 형사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그는 할리우드 영화제작자 등으로부터 몇 년간 고급 샴페인과 시가 등 수십만 달러 상당의 선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상반기 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불발됐다.WGBI를 관리하는 FTSE러셀은 30일(현지시간) 한국은 관찰대상국 지위를 유지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한국은 지난해 9월 세계 3대 채권지수 중 하나인 WGBI에 관찰대상국으로 이름을 올렸다.관련 업계에서는 한국의 WGBI 편입은 올해 3월보다는 하반기인 9월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왔다./연합뉴스
상반기 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불발됐다.WGBI를 관리하는 FTSE러셀은 30일(현지시간) 한국은 관찰대상국 지위를 유지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한국은 지난해 9월 세계 3대 채권지수 중 하나인 WGBI에 관찰대상국으로 이름을 올렸다.관련 업계에서는 한국의 WGBI 편입은 올해 3월보다는 하반기인 9월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왔다./연합뉴스
경영진, 150억원대 주식매각…매사추세츠주 당국 증거제출 명령 미국 은행 위기가 본격화하기 직전 보유주식을 대량 매도한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경영진에 대해 매사추세츠주(州)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로이터통신은 30일(현지시간) 매사추세츠 국무장관실이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에 대해 증거 제출 명령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매사추세츠 국무장관실은 선거관리와 주정부 기록관리 등 업무 외에 증권 거래 감독업무도 담당한다.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은 매사추세츠주에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최고경영진 6명은 지난 1월 17일부터 3월 6일까지 약 50일간 모두 1천180만 달러(약 153억2천만 원)에 달하는 보유주식을 매각했다.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은 3월 10일 SVB 파산 이후 은행 업계 전반으로 위기설이 확산하면서 주가가 90% 가까이 폭락했다. 통상적인 거래였다는 것이 경영진의 주장이지만, 주식을 대규모로 매도한 시점을 감안한다면 은행의 비공개 정보를 바탕으로 발 빠르게 처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매사추세츠주 당국은 은행 위기의 진원지인 실리콘밸리은행(SVB)의 모기업이었던 SVB파이낸셜그룹 경영진의 내부자 거래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에 착수했다. 역시 SVB도 매사추세츠주에 지점을 운영했다. SVB에 대해서는 법무부와 증권거래위원회(SEC) 등 연방정부 차원의 조사도 진행 중이다. 연방정부도 SVB 모회사인 SVB 파이낸셜 경영진이 파산 전 지분 매각 논란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