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 때 공약으로 내세운 '더 나은 재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총 8년간 진행되는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세계 경제 무대에서 경쟁국 중국을 따돌리고 미국의 1인자 자리를 굳건히 하겠다는 계획이다.3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피츠버그 연설에서 "나는 2년 전에 이곳에서 선거유세를 시작했다. 미국의 근간인 중산층을 살려야 한다. 일자리를 구하고 기업을 구해야 한다"며 도로, 다리, 5세대 통신망 등 기반시설에 투자하는 약 2조달러(약 2260조원) 규모의 계획을 공표했다.미국 국내총생산(GDP)의 10%에 달하는 자본을 투입하는 이번 바이든 정부의 투자계획의 주내용은 사회간접자본(SOC) 등 물적 인프라에 대규모 투자를 골자로 한다. 고속도로, 항만, 대중 교통 등 기반 시설을 재건하는데 약 6500억달러를 투입한다.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가정 돌봄에는 4000억 달러, 주택 인프라에는 3000억 달러, 미국 제조업 부흥에는 3000억 달러가 투입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와 함께 중국과 경쟁하기 위해 GDP의 2%까지 연구개발(R&D)에 투자할 것이라고도 했다.구체적으로 투자 내용을 살펴보면 바이든 대통령은 10개의 주요 교량과 1만개의 다리를 포함해 도로 개선작업에 1150억달러를 투입한다. 암트랙에 800억달러를 투자하고 오는 2030년까지 50만개의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를 포함해 주정부와 지방 정부에 1740억달러를 지원한다.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에도 나섰다.특히 미국 내 반도체 제조를 위해 500억달러를 쏟아붓기로 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의 반도체 제조를 부흥시키기 위해 바이든 정부가 500억달러를 지원한다"며 "중국의 부상과 경쟁국들의 기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인텔 등 미국 반도체 업체들은 이날 일제히 바이든 정부 정책에 대해 지지 의사를 밝혔다.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투자에 소요되는 재원은 고소득층과 기업에 대한 증세로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법인세 세율을 21%에서 28%로 올리고, 연소득 40만 달러 이상을 버는 이들에 대한 세금을 인상함으로써 인프라 부양책 재원을 부분적으로 충당하겠다는 설명이다.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인프라 투자 계획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가장 큰 일자리 투자다. 수백만개의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며 "중국과의 '글로벌 경쟁'에서 승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의 SOC를 재건하는 데 1분도 더 지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한편 바이든 대통령의 인프라 투자 계획 발표에 이날 미국 뉴욕 증시는 혼조를 보였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26% 하락한 3만2981.55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36% 오른 3972.89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54% 상승한 1만3246.87을 기록했다.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 2000 지수는 1.13% 뛴 2220.52를 나타냈다.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
2천조원 부양안 이어 대규모 자금투입…도로·공항 현대화, 주택건설, 제조업 부흥"美서 한 세대 한 번 있는 투자…수백만 일자리 창출, 1분도 지체 못 해"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조 달러(약 2천260조 원) 규모의 초대형 인프라 건설투자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취임 직후 1조9천억 달러(약 2천150조 원) 규모의 매머드급 부양법안을 의회에서 통과시킨 직후 또다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직격탄을 맞은 경기 부양을 위해 엄청난 돈을 쏟아붓는 안을 내놓은 것이다.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가진 연설에서 이 계획이 수백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 경제를 활성화하며 미국이 중국과 경쟁하는 것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고 CNN과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그는 자신의 제안을 "미국에서 한 세대에 한 번 있는 투자"라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2차 대전 이후 최대 규모의 미국 일자리 투자다.수백만 개의 일자리, 좋은 보수를 주는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또 "나는 오늘 부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노동에 대해 보상하는 국가 계획을 제안한다"며 "모두에게 성공할 기회를 주는 공정한 경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그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복원력 있는 혁신 경제를 창출할 것"이라며 "그것은 가장자리를 땜질하는 계획이 아니다.우리가 수십 년 전에 주(州)간 고속도로 건설과 우주개발 경쟁을 한 이래 보거나 했던 것과 다르다"라고 언급했다.이어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인프라 투자 계획이 미국인의 일자리 및 가정과 관련된 것이라며 "둘 다 우리 경제 미래에 있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바이든 대통령은 특히 "오늘 저는 미국의 일자리 계획에 대해 말하고 싶다.도로, 교량, 공항 등 교통 인프라를 현대화하는 것"이라고 밝혔다.그러면서 "그것은 핵심적인 방식으로 경제를 성장시킨다.매우 필요로 하는 개선 및 업그레이드를 위해 일할 사람을 투입하는 것"이라며 "상품 이동과 일자리 구하기를 더 쉽고 효율적으로 만들며, 세계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그는 "미국은 인프라 재건을 위해 1분도 지체할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이번 인프라 투자 계획에는 도로·교량·항구 등을 재건하는데 약 6천120억 달러, 노령층·장애인 돌봄 시설 투자에 약 4천억 달러, 200만 호 이상의 신규 주택 건설에 2천130억 달러, 제조업 부흥에 3천억 달러가 각각 책정된다.초고속 데이터 통신망 구축, 학교 건설 및 개선, 실직 근로자와 소외된 이들을 돕는 등 인력개발에도 각 1천억 달러씩 투입된다.국가 전력망 강화와 깨끗한 식수 공급을 위한 상수도 개량 등에도 수천억 달러를 사용하고, 청정에너지 관련 사업에 약 4천억 달러가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다.CNN은 "향후 8년 동안 국가 기반 시설을 개선하고 녹색 에너지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2조 달러 규모의 제안"이라고 전했다./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사진)이 두 차례에 걸쳐 4조달러에 달하는 부양책을 꺼낼 계획이라고 워싱턴포스트(WP)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애초 시장에 알려진 3조달러보다 규모가 늘어난 것이다.WP는 바이든 대통령이 31일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를 방문해 2조2500억달러 규모의 인프라 부양책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구체적으로 △도로 교량 고속도로 항만 등 인프라 재건에 6500억달러 △노인·장애인 돌봄 4000억달러 △주택 보조 3000억달러 △제조업 부흥 3000억달러 △연구개발(R&D) 1800억달러 △전력망 1000억달러 △초고속 통신망 1000억달러 △수도 시스템 1000억달러 △노동력 개발·직업훈련 1000억달러 등이다.WP는 소요 재원 중 상당액은 증세로 마련되며 법인세 인상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때 법인세율을 21%에서 28%로 올리겠다고 공약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낮췄는데 이를 절반쯤 되돌리겠다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연소득 40만달러 이상 고소득자의 소득세 최고 세율도 37%에서 39.6%로 올리겠다고 약속했다.WP는 바이든 행정부가 2조2500억달러 부양책에 이어 조만간 건강보험, 자녀 세제 혜택, 유급휴가 확대 등 ‘인적 인프라’ 확충에 초점을 둔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두 부양책을 더하면 규모가 4조달러를 넘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바이든 대통령이 초대형 부양책을 추진하는 것은 ‘바이든표 경제개혁’에 시동을 걸기 위해서다. 취임 직후 1조9000억달러 부양책으로 코로나19 대처를 위한 ‘급한 불’을 끈 만큼 이제부터 낙후한 인프라 개선, 경제적 불평등 해소,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경제 재건’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뜻으로 분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와 관련, “정부가 주요 성장동력이라는 믿음에 따른 정책”이라고 지적했다.바이든 대통령이 부양책을 두 차례로 나눠 추진하는 건 의회 통과 확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공화당의 지지를 얻기가 상대적으로 쉬운 인프라 부양책부터 통과시킨 뒤 교육·복지 관련 부양책을 추진하겠다는 의도라는 것이다.공화당이 찬성할지는 미지수다. 공화당은 증세는 물론 정부 주도의 과도한 부양책에도 부정적이다. 미 행정부와 의회는 지난 1년간 코로나19 대처를 위해 여섯 차례에 걸쳐 5조6000억달러의 재정을 투입했다. 여기에 4조달러가 넘는 부양책이 더해지면 미국의 재정 투입액은 10조달러에 육박한다. 국가 채무가 악화하는 것은 물론 인플레이션이 심해질 수 있다.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