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최남단 람페두사 섬에 만 하루 동안 2천명의 아프리카·중동 이주민이 상륙했다고 UPI통신과 미국 CNN방송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들 언론은 이탈리아 당국자를 인용해 지난 24일 1천778명의 이주민이 이민선을 타고 람페두사에 도착했고, 다음날인 25일에 267명이 추가로 들어와 모두 2천45명이 이 섬에 몰려들었다고 전했다. CNN은 이전에도 람페두사에 대규모로 이주민이 상륙한 적은 있지만 연중 이른 시기에 하루 동안 2천명 이상이 상륙한 것은 기록적이라고 지적했다. 지중해에 파도가 높게 일고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통상 불법 이민선 출항이 줄어든다. 이주민들을 지원하는 국제구호단체에서 여러 이민선을 구조했지만 난민 구조활동 횟수를 제한한 이탈리아 우파 정부의 새 규제법에 따라 벌금을 물어야 할 수 있고 CNN은 전했다. 시칠리아 인근에 있는 람페두사는 여의도의 약 5배 크기인 섬으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가까워 유럽연합(EU) 국가로 들어오려는 이주민들의 주요 경로가 되고 있다. 하지만 올해는 1∼2월에 배를 타고 이탈리아 해안에 도착한 이주민 수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3배 이상으로 증가했다고 이탈리아 내무부는 집계했다. 지난달에는 이탈리아 서남부 칼라브리아주 동쪽 해안에서 이민 선박 난파 사고로 70여명이 숨지는 참사가 벌어졌다.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튀니지의 정치적 상황 때문에 최근 이주민 입국이 늘었다면서 이들의 대규모 유입을 막기 위한 유럽연합 국가들의 협력을 요청했다. 멜로니 총리는 지난 23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정상회의에서 "튀니지가 붕괴하면 90만명이 이탈리아로 올 수 있으며 이탈리아로서는 이들을 환영할 수
베이징 중국발전고위급포럼 연설…中 당국에 시장 지향적 개선 촉구 크리스티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26일 세계 금융 안정성에 위험이 커졌으며, 올해 힘겨운 한해가 될 것이라는 진단을 내놨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이날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발전고위급포럼에서 선진국들이 미국발 중소은행 파산 여파로 인한 시장 긴장을 완화했으나 금융 안정성의 위험은 커졌다고 말했다. 그는 또 올해 코로나19 대유행, 우크라이나 전쟁, 통화 긴축 정책의 여파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3%를 밑돌며 힘겨운 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1월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2.9%로 전망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상황을 계속 면밀히 감시하고 있고 세계 경제 전망과 금융 안정성에 대한 잠재적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며 "특히 부채 수준이 높은 저소득 국가의 경제 상황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2%로 예상되며 이같은 경제 회복이 세계 경제에 희망이 될 수 있다고도 말했다. 그는 이에 따라 중국이 올해 세계 성장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도 덧붙였다. 그러면서 중국 당국을 향해 민간 부문과 국영 기업 간 기울어지지 않은 운동장을 조성하기 위해 시장 지향적 개선에 나설 것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5월 히로시마에서 개최할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가상화폐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규제를 논의한 뒤 성과를 공동선언에 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2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G7은 5월 11∼13일 니가타에서 개최되는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합의를 이뤄낸 뒤 그달 19∼21일 정상회의에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이에 앞서 4월 중순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도 가상화폐가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가상화폐는 세계적으로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규제가 강하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지난해 11월에는 세계 가상화폐 거래소 가운데 한때 3위를 기록했던 FTX가 파산을 신청하면서 이용자들이 피해를 보기도 했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가상화폐에 초점을 맞춘 규제가 아직 없고, 유럽연합(EU)은 입법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통신은 "미국에서 은행이 잇따라 파산해 경제적으로 신용 문제가 불거지는 상황에서 G7이 선도적으로 금융 시스템을 안정화하려는 것"이라고 짚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