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지출, 핀란드 4% 늘지만 에스토니아는 25%가스 의존도 등 영향…같은 나라서도 가난하면 더 부담 러시아가 서방 제재에 대한 보복으로 유럽행 천연가스 공급을 축소하면서 겨울철을 앞둔 유럽에서 '에너지 요금 쇼크'가 현실화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유럽 내에서도 소득 수준이나 가스 의존도 등에 따라 영향도 천차만별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에너지 요금 인상으로 북유럽의 대표적 부국인 핀란드 일반 가정에서는 기존 가계 지출의 약 4%를 더 부담하게 될 것으로 추산했다고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13일 보도했다. 이에 비해 발트 3국에 속한 에스토니아 가정에서는 적게는 15%에서 최대 25%를 더 지출할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로 유럽인들은 평균적으로 소득의 10분의 1 정도를 에너지 요금에 지출하는데, 같은 유럽임에도 상대적으로 더 가난한 동유럽권 국가일수록 에너지 가격 급등에 더 취약한 실정이다. 국가마다 다른 천연가스 의존도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천연가스 도매가격은 2배가량 크게 올랐다. 같은 기간 석탄 가격도 60%가량 올랐지만, 천연가스보다는 상승 폭이 크지 않았다. 재생 에너지 가격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을수록 요금 인상의 충격파가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가령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은 영국 가정에서는 지출 부담이 10%가량 늘어나는 반면, 스웨덴은 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영국과 달리 스웨덴은 천연가스를 전력 자원으로 활용하는 비율은 3% 미만으로 비중이 작고, 수력이나 풍력, 원자력 발전이 많이 활용된다. 또 스웨덴 가정에서는 가스 난방보다는 '목재
자택 기밀보관하다 압수…재임 내내 느슨한 비밀취급 논란이란 로켓시설 트윗, 대테러 전술 설명, 신무기 깜짝언급 등 파문 도널드 트럼프(76) 전 미국 대통령이 플로리다 자택에 기밀문서를 보관하다 압수당하면서 그의 허술한 기밀 정보 관리 태도가 또 도마 위에 올랐다. AFP통신은 12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임 기간 일방적인 천기누설 등으로 미국 정보당국을 당혹스럽게 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관련 사례를 모아 보도했다. 대표적으로는 군사안보 1급 비밀로 취급되곤 하는 핵잠수함 위치를 누설한 사건이 꼽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7년 로드리고 두테르테 당시 필리핀 대통령과 통화 중 북한의 도발 움직임을 거론하며 "거기(한반도 주변)에 우리는 많은 화력을 갖고 있다. 잠수함 2척이 있다. 세계 최고 핵잠수함 2척"이라고 말했다. 이 사실은 나중에 필리핀 언론이 입수한 두 정상의 전화 녹취록에서 공개됐다. 미 국방력의 핵심 자산으로 꼽히는 핵 추진 잠수함의 작전지역의 위치를 공개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란 셈난주에 있는 이맘 호메이니 우주발사터미널 고해상도 이미지를 유출한 사건도 허술한 정보관리 사례로 거론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8월 30일 당시까지 존재조차 기밀로 여겨지던 로켓발사장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느닷없이 트위터에 올렸다. 사진에는 "(화재에) 미국은 관여하지 않았다"는 말도 달렸다. 이 발사장에서는 로켓 발사 준비 도중 화재가 발생해 과학자 3명이 숨진 바 있었다. 아무도 묻지 않았는데도 '관여하지 않았다'며 부인하는 듯한 말을 꺼낸 셈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런 태도 탓에 이란의 로켓 실패에 미국이 관여한 것 아니냐는 해
영국 출신의 '얼굴 없는 화가' 뱅크시가 과거 팔레스타인 거리에 남긴 작품이 이스라엘 수도 텔아비브의 한 미술 갤러리에서 발견돼 문화재 반출 논란이 일고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번에 문제시된 작품은 2007년 베들레헴의 이스라엘 진지 콘크리트 블록에 제작된 '새총 쥐'다. 뱅크시는 당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영토 점령에 항의하기 위해 해당 작품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이 그림은 얼마 지나지 않아 신원 미상 인물에 의해 'RIP(편히 잠드소서) 뱅크시 쥐'라는 글귀로 가려져 제거됐다.뱅크시는 2005년부터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와 서안 지구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온 예술가로, 팔레스타인을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해 자신의 작품을 경매에 부친 바 있다.이 작품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이스라엘 미술상 코비 아베겔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올해 초까지 이 작품을 개인 주택에 보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베들레헴의 한 동료로부터 뱅크시 작품을 구매했으며 되팔 계획이 없다면서 적법한 거래라고 주장했다. 단 구매액 또는 판매자의 신원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1954년 유네스코 주도로 체결된 '헤이그 협약'에 따르면 점령국이 점령지에서 문화재를 파괴하거나 제거하는 것은 금지된다. 팔레스타인 관광부 대변인은 "이것은 팔레스타인인들의 재산을 훔친 것"이라며 "이를 이송하고 조종하고 훔치는 것은 분명 불법 행위"라고 비판했다.한편, 뱅크시의 대표작 '풍선과 소녀'는 소더비에서 104만2000파운드(약 16억6600만원)에 낙찰된 바 있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