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재선도전 선언 후 G20 미중담판으로 재선가도 동력 삼으려던 구상 변수
北지렛대 확보 노리는 시진핑 예의주시…북미교착 돌파구 가능성도 주목할듯
트럼프 보란듯 방북카드 꺼낸 시진핑에 '목표는 FFVD' 받아친 美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소식이 공개적으로 날아든 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시 주석과의 무역담판을 열흘여 앞둔 시점이다.

방북 시점을 저울질해온 시 주석이 무역전쟁 해결을 위한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면을 앞두고 전격 방북 카드를 꺼낸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각각 북한 변수와 중국 변수 추가로 좀 더 복잡해진 미·중 무역협상 테이블과 북미협상 테이블에 앉을 가능성이 커졌다.

조선중앙방송 등 북한 관영매체와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는 시 주석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요청에 따라 20∼21일 북한을 국빈 방문한다고 발표하면서 발표시점을 한국시간 17일 오후 8시(미국 동부 현지시간 17일 오전 7시)로 택했다.

보통 북한은 중요 소식을 오전 6시 배포되는 조선중앙통신 기사로 알린다.

북한과 중국이 시 주석의 방북 발표 시점을 정하면서 미국 시간대를 고려했음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월요일 아침부터 시 주석 방북 발표를 받아든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자신과의 G20 대면을 일주일 앞두고 이뤄지는 시 주석의 방북 일정이 그다지 반갑지 않을 수 있다.

미·중 양국의 무역전쟁이 좀처럼 출구를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G20 무역담판을 별러왔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을 강하게 압박해 미국에 유리한 무역합의를 이끌어내겠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인 것으로 예상됐다.

18일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재선 도전을 선언하는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다음 주 열리는 G20에서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타결로 이끌고 이를 중대 치적으로 내세우며 재선가도의 동력으로 삼으려는 기대도 있었을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시 주석이 방북 카드를 꺼내 들며 북한이라는 협상 지렛대를 추가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이 순조롭게 현실화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작아진 셈이다.

더구나 시 주석과 G20에서 만날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거듭된 공언에도 중국은 G20 미·중 정상회담 일정을 확인하지 않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애를 태워왔다.
트럼프 보란듯 방북카드 꺼낸 시진핑에 '목표는 FFVD' 받아친 美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G20 목전의 방북을 통해 북미협상에 존재감을 키우고 미·중 무역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겠다는 시 주석의 의도가 북중정상회담을 거치며 어떤 식으로 구체화할지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응책 마련에 부심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연말로 시한을 설정하며 '새 계산법'을 미국에 압박해온 상황에서 북한이 시 주석의 방북이라는 대형 이벤트를 통해 중국과의 밀착을 강화하고 '미국이 오판할 경우 새 길을 가겠다'는 올해 신년사의 경고를 상기시키며 압박에 나설 가능성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다.

시 주석 방북에 대해 백악관이 내놓은 입장에서도 이러한 고민이 묻어난다.

백악관은 "우리의 목표는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 달성"이라고 밝혔다.

'우리의 목표'라는 표현을 통해 중국도 최대압박을 토대로 한 북미협상을 통해 북한의 FFVD 달성에 목표를 둬야 한다는 점을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무부는 한술 더 떠 "미국은 우리의 파트너 및 동맹국, 중국을 비롯한 다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과 함께 북한의 FFVD라는 공유된 목표 달성에 전념하고 있다"며 "국제사회는 FFVD가 무엇을 수반하는지, 그 목표를 향한 의미있는 진전이 어떤 것인지 공유된 인식을 갖고 있다"며 중국을 압박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4월 방러한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가진 데 이어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를 방문한 시 주석과 지난 5일 정상회담을 하고 이번에는 시 주석이 북한을 찾아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하면서 북한의 단계적 접근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상황을 경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보란듯 방북카드 꺼낸 시진핑에 '목표는 FFVD' 받아친 美
그러나 시 주석의 방북과 G20,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등 중대 외교일정이 연달아 열리는 점을 고려하면 시 주석이 북미협상 교착 돌파를 위한 핵심적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시 주석의 행보를 지켜보는 트럼프 행정부의 시선은 다소 복잡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부터 북중정상회담에 이어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되고 북미정상회담까지 이어지던 일련의 상황을 고려하면 시 주석의 방북 역시 재개 전망이 어둡던 북미협상에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지난달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로 미국 내에 북한과의 협상 지속에 대한 회의감이 커지는 상황이라 트럼프 대통령도 시 주석 편에 전달될 김 위원장의 구체적인 메시지에 관심을 둘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김 위원장에게 최근 친서를 받는 등 정상 간 소통을 이어가고 있기는 하지만 시 주석의 가세라는 중대 변수가 등장한 만큼 이를 계기로 전개될 북미협상의 향방을 민감하게 지켜볼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