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일정이 22일로 확정되면서 곧 발표될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 시기와 장소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장소는 판문점에서 싱가포르로 무게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시기는 당초 ‘5월 개최’에서 ‘5월 말 또는 6월 초’로 조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 간 정상회담 의제 조율 문제로 개최 장소와 일정이 춤을 추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김정은 核담판, 돌고돌아 '5末6初' 싱가포르서 개최 유력
◆정의용-볼턴 면담에서 결론 가능성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한 행사에서 “미·북 정상회담이 3~4주 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개최지는 그가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한 뒤 판문점이 급부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판문점 회동이 성공하면 ‘엄청난 축제’가 될 것이라고 기대를 감추지 않았다.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의 5월 판문점 개최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

그러나 5월 들어 백악관 내 부정적 여론이 나오기 시작했다. 한국 정부의 역할이 부각되고, 미국이 아니라 북한이 정상회담을 주도하는 듯한 이미지에 대한 우려가 보도되기 시작했다.

발표를 늦추고 있지만 회담 시기와 장소는 지난 4일 결론이 난 것으로 보인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면담 직후 한·미 정상회담 시기(22일)가 확정됐고, 트럼프 대통령은 “미·북 정상회담 날짜와 시간을 갖고 있다”고 말하기 시작했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은 “한·미 정상회담 일정을 감안할 때 북·미 회담 시기는 5월 말 또는 6월 초로 조정되고, 판문점에서 열릴 가능성도 작아졌다”고 말했다.

◆돌고 돌아 ‘5월 말 6월 초’

장소보다는 일정이 돌고 돌아 5월 말 또는 6월 초로 조정된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초 정상회담 제안을 수락하면서 5월 내 만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나 행사 준비작업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5월 말 또는 6월 초가 거론되다가 다시 5월 개최 가능성이, 이번에 5월 말 또는 6월 초로 넘어가는 분위기다.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 때문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란 핵협정 파기 여부 결정시한(12일)과 이스라엘 미국 대사관 개소식 참석(14일) 등 중요한 외교 일정이 줄줄이 닥친다. 이 때문에 한·미 정상회담 일정이 22일로 밀렸고, 이어지는 북·미 정상회담도 자연스럽게 늦춰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한 뒤 내달 8∼9일 캐나다 퀘벡주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설명하고 지지를 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만약 G7 정상회의 이전 정상회담이 물 건너가면 자연스럽게 6월 중순으로 시기가 넘어간다.

그러나 “미국 정보당국자들이 평양 또는 제3국에서 북한과 직접 접촉하면서 의제 등을 협의하고 있기 때문에 한·미 정상회담 시기에 관계없이 북·미 정상회담이 5월 말에 곧바로 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워싱턴 소식통)는 얘기도 나온다.

◆“비핵화 방식 놓고 신경전 여전”

비핵화 방법과 시기를 둘러싼 북·미 간 이견 때문에 시기가 조정된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최근 ‘핵무기를 포함한 대량살상무기의 영구적이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즉각 폐기(PVID)’를 북측에 요구하기 시작했다. 전보다 훨씬 강도 높은 비핵화 요구다. 북측이 이에 반발했고, 정의용 실장이 이를 조율하기 위해 극비리에 워싱턴DC에 급파됐다는 관측도 있다. 정 실장은 한 달 사이 세 번이나 워싱턴DC에서 볼턴 보좌관을 만났다.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는 지난 4일 워싱턴DC에서 특파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폼페이오가 방북해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을 한 시간가량 만나 깊은 대화를 나눈 뒤 PVID에 대해 얘기한 것을 봤을 때 어느 정도 교감을 갖고 얘기하는 것 아닌가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핵화 개념이나 시기 등의 문제가 아니라 비핵화 과정과 제재 해제 등 보상 문제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를 놓고 여전히 이견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미국은 선(先)비핵화-후(後)보상 원칙을 고수하고 있고, 북한은 비핵화 조치와 보상이 함께 이뤄지는 단계적이고 동시적 비핵화 방식을 주장하고 있다.

워싱턴=박수진 특파원/손성태 기자 p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