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50개국에 피해를 준 랜섬웨어 공격에 북한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북한 해커부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 사이버전 전력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정확한 정보는 없다. 관련 인력 추정치만 해도 적게는 수천 명에서 많게는 10만 명까지 편차가 크다. 다만 국방부가 올해 1월 발표한 2016년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군 사이버전 인력은 2년 새 800명 늘어난 6800명으로 추산된다.

북한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집권한 직후 한국은 물론 미국 등 세계 각국을 상대로 사이버 전쟁을 펼칠 전담 인력을 확충하고 있다. 미국 워싱턴대 국제문제연구소는 지난해 북한 해커부대 전력이 미국 사이버사령부가 보유한 4900명보다 많다고 평가했다. 북한 해커부대는 인민무력성과 대남 공작을 주도하는 정찰총국, 노동당 등에 소속돼 북한은 물론 중국 선양, 단둥 등 해외에서 위장 기업이나 비밀 공작사무실을 열어 활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 활동하는 북한 해커 부대원만 600~1000명 수준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09년 주요 정부기관 사이트를 교란한 7·7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은 정찰총국 산하 기술정찰조로 불리는 110호 연구소가 공격을 주도했다. 600명 규모로 추정되는 북한 인민군 참모부 산하 사이버전지도국은 한국군의 지휘·통제·통신 교란 작전을 주 임무로 하고 있다. 미 국방부는 지난해 모의실험을 통해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을 평가한 결과 미군 태평양사령부 지휘통제소를 마비시키고 본토 전력망에 피해를 줄 정도의 수준인 것으로 분석했다.

북한은 사이버 전투원 양성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1980년대부터 컴퓨터 분야는 사회주의 교육방식인 평등주의 원칙 교육을 버리고 엘리트 교육에 집중하고 있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지난해 ‘미국의 소리’와의 인터뷰에서 “세계 대학생 컴퓨터 프로그램 경진대회에서 김일성대 학생들이 한국의 고려대나 KAIST 출신보다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며 “최고통수권자인 김정은 위원장이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데다 실력을 인정받으면 해외에서 생활할 수 있어 북한 컴퓨터 인재들에게 동기부여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