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와 시알리스를 판매하는 글로벌 제약회사 두 곳이 수년간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비율로 약값을 올려온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벌 제약회사들이 ‘적과의 동침’ 전략을 펴면서 미국 소비자들의 약값 부담을 키우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다국적 제약회사 화이자가 지난 6월 미국에서 비아그라의 약값을 13% 올리자 일주일도 안돼 시알리스를 만드는 일라이릴리가 같은 비율로 가격을 인상했다”며 “수년간 이런 일이 반복돼 왔고 심지어 같은 날짜에 약값이 오른 경우도 있었다”고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비아그라와 시알리스의 가격은 2013년 한 정에 20달러 중반이었으나 화이자와 일라이일리는 모두 일곱 차례에 걸쳐 약값을 올려 지금은 50달러 안팎까지 치솟았다. 두 회사는 수 일 또는 수 주 간격으로 마치 서로 짠 것처럼 가격인상을 결정했다.

WSJ은 바이그라와 일라이릴리의 사례는 경쟁시장에서도 가격상승을 막기 어렵다는 미국 제약업계의 현실을 대변한다고 분석했다. 두 회사가 가격결정권을 자유롭게 행사할 수 있는 이유는 여러가지다. 환자들이 약효를 인정해 가격이 오르는데도 특정 제품을 고집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건강보험회사나 약품유통회사 등 관련 업체들의 이해 관계가 맞물려 비슷한 효과를 내는 저가제품의 사용을 가로 막기도 한다. 미국 건강보험 프로그램의 가격책정 등에 조언을 하고 있는 믹 콜라사는 “현재 미국의 제약시장은 가격이 비싼 제품이 퇴출되는 구조가 아니다”고 평가했다.

제약업계에서는 일부 업체들의 가격인상은 담합의 결과가 아니며 적법한 절차에 의해서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하지만 외부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WSJ은 “화이자와 시알리스 등이 약값을 마음대로 올리면서 지난해 전체 소비자의 처방약 부담은 3100억달러로 전년보다 10% 가까이 늘었다”고 전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