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경제가 되살아난 배경에는 과감한 긴축을 5년간 단행한 정치 리더십이 있었다. 2010년 말 구제금융이 결정된 뒤 2011년 3월 치러진 조기 총선에서 승리한 중도우파 통일아일랜드당(당시 제1야당)은 긴축을 통해 재정 부실을 털어내는 데 주력했다.

그 결과 유럽의 구제금융 4개국(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중 처음으로 2013년 12월 구제금융 프로그램을 졸업했다. 엔다 케니 아일랜드 총리는 구제금융 졸업을 발표하며 “경제·재정의 자유 없이는 정치적 자유도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아일랜드의 경제성장률은 6%를 넘어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세계 최저 수준(12.5%)의 법인세율로 외국 기업 유치에 성공하면서 지난해 세수는 예상보다 30억유로 더 걷혔다.

경제가 살아나고 있는 지금, 아일랜드의 최대 리스크로 꼽히는 것은 조만간 치러질 총선이다. 날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법적으로 오는 4월8일 전에 선거를 치러야 한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여당인 통일아일랜드당이 31%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좌파 성향의 신페인당을 중심으로 야당 간 연합이 이뤄진다면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총선에서 정권이 교체되면 좌파 성향 정부가 그동안의 긴축 대신 확장적 재정정책을 쓰는 쪽으로 돌아설 수도 있다.

국제 신용평가회사 무디스는 지난해 9월 아일랜드의 신용등급(Baa1) 전망을 ‘안정적’에서 향후 등급을 올릴 수 있다는 뜻의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면서 단서를 달았다. “차기 정부가 본질적으로 다른 재정정책을 쓴다면 신용등급을 다시 떨어뜨릴 수도 있다”고 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