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 파마·라스 피터 핸슨·로버트 실러 교수

올해 노벨 경제학상은 자산가격 결정 이론에 공헌한 미국 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수상자인 시카고대의 유진 파마(74) 교수와 라스 피터 핸슨(61) 교수, 예일대의 로버트 실러(67) 교수는 모두 자산가격 결정 요인을 실증적으로 연구한 금융경제학자들이다.

파마 교수가 금융이론으로 유명한 '효율시장이론'을 내세워 '주가는 예측할 수 없다'는 화두를 던졌다면, 라스 피터 핸슨 교수는 금융시장의 앞날을 예측할 수 있게 돕는 통계적 도구를 개발했다.

세 수상자 모두 자산가격 분석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점이 공통점이다.

그러나 이들은 각각 서로 다른 측면을 파고들어 자산가격 결정에 대한 경제학의 지평을 넓혔다.

◇효율시장이론의 아버지 파머
'주식투자, 원숭이가 사람보다 낫다?'
유럽판 월스트리트저널(WSJE)은 전문 투자자와 초보자, 원숭이 등 세 그룹이 추천한 주식 종목에 투자한 결과, 원숭이가 선두를 차지했다는 재미있는 결과를 과거 보도한 적이 있다.

이 실험의 이론적 기반이 바로 파머 교수가 기틀을 다진 효율시장 이론이다.

주식시장은 효율적이고 주가에는 이미 모든 정보가 반영돼 있는 만큼 주가예측은 불가능하다는 게 이 이론의 핵심이다.

파머 교수의 이론이 제시되자 금융시장에서는 오랫동안 엄청난 논쟁이 벌어졌고 능동적인 투자에 대한 회의론이 대두하기도 했다.

'인덱스펀드'와 같은 수동적인 금융 상품이 유행하게 된 것도 파머 교수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경제학자들은 파머 교수의 이번 수상은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고 평가했다.

시카고대에서 파머 교수와 핸슨 교수의 수업을 들은 윤창현 한국금융연구원장은 "파머 교수는 진작 노벨상을 받았어야 할 분인데 금융위기로 시장의 효율성에 회의론이 생기면서 수상이 늦어졌다는 농담까지 생겼다"고 말했다.

◇자산가격 예측 틀 제공한 핸슨…"수업 너무 어려웠다"
윤 원장은 "한 학기 동안 핸슨 교수의 일반적률추정법(GMM) 수업을 들었는데, 마지막 날 한 학생이 'GMM이 뭔가요'라는 질문을 해 모두 웃었던 기억이 난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통계 이론을 단순하게 응용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증명과 분석을 심도 있게 다룬 핸슨 교수의 수업이 그만큼 어려웠다는 얘기다.

핸슨 교수 밑에서 박사과정을 밟은 서울대 윤택 교수도 "수업이 상당히 어려워서 학생들이 많이 고생했다"며 "박사과정 때 적절한 조언을 많이 해줬는데 그때의 조언들이 지금 생각해봐도 많은 도움이 됐던 것 같다"고 말했다.

경희대 이기석 교수 역시 핸슨 교수 밑에서 박사학위를 마쳤다.

그 역시 "거시경제학 시험에서 핸슨 교수가 10문제 중 6문제를 출제했는데 시험지를 받자마자 여기저기서 한숨 소리가 터져 나왔다"고 소개했다.

이 교수는 "다만, 워낙 내성적이고 수학과 경제학에만 관심을 둬 인간적인 정을 많이 느끼지는 못했다"며 "한국경제의 발전에 대해 '대단하다'고 칭찬한 게 기억난다"고 말했다.

핸슨 교수는 기본적으로 수학자이자 계량경제학자이지만 자산가격 결정이론의 실증적인 측면을 입증하는 데 기여했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토마스 사전트 뉴욕대 경제학과 교수와 합리적 기대이론을 함께 연구하기도 했다.

계량경제학에 널리 활용되는 '일반적률추정법'(GMM)을 고안한 학자로 유명하다.

파머 교수가 주식시장을 예측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면, 핸슨 교수는 자산가격이나 경제변수의 중장기적인 추정치를 추론하는 길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 비이성적 측면 강조한 실러…버블 경고
앞서 두 수상자가 인간의 합리성에 기반을 뒀다면 실러 교수는 금융시장의 비이성적인 측면과 행태에 주목했다.

그는 '동물적 야성'(animal spirit)이 시장을 움직인다고 봤다.

그는 이런 비(非)이성이 주식과 부동산 시장의 거품으로 이어진다고 봤다.

실제로 그는 2000년대 초 'IT 버블'이 꺼지며 미국 주식 시장이 대폭락하기 수년 전부터 거품 붕괴를 경고했다.

2000년대 중반에는 부동산 시장의 거품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이어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경고하고 나선 셈이다.

그의 저서 '비이성적 과열'은 2000년 이코노미스트지에 의해 그 해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실러가 월가의 구루(guru·정신적 스승) 지위에 올라섰다"고 평가했지만, 일각에선 두 번의 대형 금융위기를 예측한 그를 '카산드라(불길한 예언을 하는 사람)'라고 비꼬기도 한다.

김재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수상자 세 분 모두 학문적 기여도가 대단한 분들"이라며 "리먼 사태 이후 금융위기가 부각되면서 금융경제학에 기여한 분들이 수상하게 된 게 아닌가 싶다"고 설명했다.

윤창현 한국금융연구원장은 "서로 다른 세 명이 함께 상을 받았다는 점도 재미있다"며 "시장의 효율성을 의심하게 만든 금융위기가 가라앉고 있다는 뜻도 있지 않나 싶다"고 해석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지헌 차지연 방현덕 기자 pan@yna.co.krcharge@yna.co.krbangh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