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사 모체로 부대 창설..6개월이내 파병 가능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가 30일 외교부의 아프가니스탄 파병 방침 발표에 따라 파병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국방부와 합참은 아프간에 민간재건지원팀(PRT)을 확대하고 이들을 경비.경호하는 군병력을 파견한다는 정부의 발표 내용을 토대로 즉각적인 임무수행이 가능하고 파병경험이 있는 부대를 지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특전사를 모체로 파병 부대를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특전사가 파병 경험이 많은 정예부대이고 평상시 경호.경비훈련이 잘되어 경계병력으로 운용이 가능한 부대"라고 설명했다.

◇ "6개월 이내 파병 가능" = 군 당국은 아프간 파병 결정에 따라 앞으로 6개월 이내에 모든 파병 절차를 마치고 아프간으로 떠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2007년 7월 동명부대가 레바논에 파병될 당시 파병 결정에서 실제 파병까지 8개월이 소요됐던 것을 감안하면 아프간 파병은 이보다 더 단축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당시 동명부대는 외국인에게 토지 임대를 꺼리는 레바논의 정서에 의해 주둔지 확정이 지연되면서 8개월이 소요됐다.

하지만 아프간의 경우 아프간 정부에서도 시급히 재건지원을 희망하고 있기 때문에 주둔지 제공을 받는데 그리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군은 판단하고 있다.

군 당국은 외교부 주관으로 군과 경찰, 국정원 등 정부합동실사단이 내달 초 아프간에 파견되어 실사작업이 끝나면 보호병력의 주둔지역과 규모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실사단의 실사 결과 PRT를 운영하면서 부대 임무를 수행하는 데 제약요인이 많다고 판단되면 PRT 규모라든지, 정부가 예상하는 특전사 위주의 270~280명의 병력 규모가 조정될 수도 있다는 것이 군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주둔지와 병력 규모가 결정되면 육군은 파병 부대를 창설하고 특전사 요원을 중심으로 파병 지원자 모집에 들어간다.

지원 형태로 부대원이 충원되면 5~6주간 군사훈련과 현지 적응훈련 등의 교육을 받게 된다.

아울러 주둔지 건설을 위한 굴착기와 트럭 등 중장비와 건설 자재를 확보하고 주둔지 방호를 위한 '편제화기' 소요도 제기된다.

편제화기는 이라크에 파병됐던 자이툰부대에 준용해 방탄장갑차와 야간열상감시장비(TOD), 급조폭발물(ID)과 지뢰제거를 위한 무인로봇, 원격조종 자동화 기관총 등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부대원들에게는 방탄조끼와 방탄헬멧, K-2 소총, 모랫바람과 강한 햇볕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선글라스 등이 지급된다.

군위 한 관계자는 "PRT 요원 130명을 경호하고 자체 방어를 하는데 300여명의 보호병력은 작은 규모"라며 "부대원을 선발하고 교육하며 주둔지를 건설하는 일정 등을 감안하면 6개월 이내이면 파병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특전사 요원을 모체로 파병부대 편제 = 국방부와 합참은 특전사를 모체로 파병부대를 편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파병 규모는 정부합동실사단이 PRT 운용지역과 규모, 활동방법 등을 확정지은 뒤 아프간 정부와 NATO(북대서양조약기구)와 협의해 군의 작전지원 소요를 식별한 뒤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정부는 내부적으로 PRT 요원을 130~150명으로 늘리고 이들을 경비할 특전사를 모태로 한 270~280명 규모의 '보호병력'을 파견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파병 지역으로는 정부가 PRT 파견 지역으로 검토 중인 님로스, 다이쿤디, 카피사주(州) 등이 대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지역은 주(州)정부의 역할이 상당히 위축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프간에서 활동할 우리 보호병력의 지휘체계 문제는 앞으로 협의가 필요하다고 군은 설명했다.

PRT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이끄는 국제안보지원군(ISAF)에 소속되기 때문에 보호병력도 ISAF의 지휘를 받게 될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지휘체계를 갖게 될지는 외교부 등을 통해 NATO와 협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아프간에는 43개국 7만1천30명의 병력이 파견되어 있다.

미국이 3만4천800명으로 가장 많고 영국이 9천명, 독일 4천365명, 프랑스 3천95명, 캐나다 2천830명, 이탈리아 2천795명 등의 순이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