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세포의 노화메커니즘을 규명,노화와 암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 미국의 UC 샌프란시스코 엘리자베스 블랙번(61),존스홉킨스 의대 캐럴 그리더(48),하버드 의대 잭 쇼스택 교수(57)가 공동 선정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5일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세포가 분열할 때 유전정보가 담긴 염색체가 어떻게 분해되지 않고 완벽하게 복제될 수 있는가'라는 생물학의 큰 의문점을 해결한 3명의 미국 과학자에게 돌아갔다"고 발표했다.

블랙번 · 쇼스택 교수는 염색체 끝에 붙어 있는 텔로미어가 세포의 수명과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그리더 교수는 텔로미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텔로머라제의 기능을 각각 밝혀낸 공로가 인정됐다. 특히 블랙번 교수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들은 텔로미어의 마모현상이 극대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텔로미어는 'TTAGGG'로 이뤄진 DNA서열이 염색체 말단에 수천 번 반복된 것으로 염색체의 손상이나 다른 염색체와의 결합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세포가 한 번 분열할 때마다 길이가 조금씩 짧아져 일정한 횟수를 넘어서면 아주 짧아지고 결국 세포는 분열을 멈추고 죽게 된다.

텔로머라제는 DNA 끝 부분에 존재하는 텔로미어가 탈락되지 않게 보호하는 효소로 정상세포에선 세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장수를 이끈다. 생식세포와 줄기세포에 풍부하다. 하지만 암세포에선 세포가 분열을 멈추지 않고 무제한 증식하도록 돕는 단백질로 작용한다. 암세포의 85~90%에서 텔로머라제가 발견된다.

김종원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올 노벨상 수상자들은 장수와 암 정복이라는 인류의 커다란 과제를 풀 수 있는 유전학적 단초를 제공했다"며 "암 전문가들은 텔로머라제를 감소시켜 텔로미어를 짧게 만드는 연구를 하는 반면 장수 연구가들은 텔로머라제를 증가시킴으로써 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구에 매달리고 있다"고 소개했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