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행정부는 5일 북한이 쏘아 올린 발사체의 성격과 관련, `인공위성'이라는 표현의 사용을 극구 피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물론 주요 언론 매체들은 북한의 발사체를 `로켓'이라고 표현하고 있을 뿐 인공위성으로 판명됐다든가 하는 언급이나 보도는 삼가고 있다.

심지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체코 방문 중 발표한 성명에서 발사체를 `대포동 2호 미사일'이라고 표현하기까지 했다.

미군 북부사령부(USNORTHCOM)도 역시 북한의 발사체를 대포동 2호 미사일이라고 공식 발표해 미국의 정부와 군 당국이 이번 로켓발사를 동북아는 물론 나머지 세계의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실험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미군 북부사령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북미방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와 미 북부사령부 관리들이 북한이 대포동 2호를 발사했다"고 공식 발표하면서 "북한 미사일의 1단계 추진체는 동해로 낙하했으나 나머지 추진체와 탑재물은 태평양에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CNN방송과 워싱턴 포스트, 워싱턴 타임스 등 미 주요언론들도 북한의 발사체를 인공위성이라는 표현 대신, 장거리 로켓이나 미사일이라고 보도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이날 1면 도쿄발 기사에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아랑곳없이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해 주변국들의 우려를 낳고 스스로 늘어난 규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전했고 CNN과 워싱턴타임스도 북한이 장거리로켓을 발사해 아시아 주변국과 미국의 분노를 사는 등 국제적인 비난을 촉발시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같은 발표와 보도는 미국은 북한이 형식면에서는 인공위성 발사를 택했지만, 내용에서는 탄도미사일 능력을 실험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3단계에 해당하는 탑재물(payload)의 성격보다 `운반수단(vehicle)'에 주목하고 있음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또 미국이 그동안 한결같이 주장해온 "미사일이든 인공위성이든 이는 도발적인 행동으로 북한의 탄도미사일과 관련된 어떤 행동도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 위반"이라는 논리와도 맞닿아 있다.

북한은 핵개발과 미사일 개발.수출을 계속해온 요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인공위성 형식을 띤 로켓 발사도 순수한 우주개발 차원이 아닌 탄도미사일 능력 테스트를 위한 우회수단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게 미국의 입장인 셈이다.

미국의 이런 입장은 유엔 안보리의 대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미국이 직접 나서 이번 로켓발사를 인공위성으로 규정할 경우, 안보리 차원에서 로켓 발사에 상응한 조치를 주도적으로 취해나가는데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러나 미국이 이번 발사를 `인공위성'이라는 공개적으로 성격규정을 하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는 진작 로켓 상단부분의 물체를 인공위성으로 분석하고 요격 가능성을 배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인공위성에 대한 군사적 대응이 국제사회의 비판여론을 일으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워싱턴연합뉴스) 고승일 김재홍 특파원 ks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