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게티 미술관이 소장 중인 고대 조각상을 이탈리아에 반환한다고 이탈리아 안사(ANSA) 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에 반환되는 조각상 3점은 테라코타로 만든 고대 그리스 신화 속 '오르페우스와 세이렌' 세트로, 기원전 350∼300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음유시인 오르페우스가 가운데 앉아 있고, 바다의 마녀 세이렌이 양옆에 서 있는 구성이다. 모두 실물 사이즈다. 이탈리아 남부 풀리아주 타란토 지역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오르페우스와 세이렌' 세트는 '석유왕'으로 불렸던 J. 폴 게티가 1976년 매입했다. 이후 수십 년간 게티가 설립한 게티 미술관에 전시됐는데 이탈리아 문화부가 2006년 약탈 당한 문화재라고 주장하며 미국 수사당국에 협조를 요청했다. 그러다가 최근 미국 뉴욕 맨해튼 지방검찰이 불법 반입됐다는 증거를 제시했고 게티 미술관은 반환을 결정했다. 티모시 포츠 게티 미술관 관장은 "유사한 것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희귀한 조각상"이라며 "우리 미술관에는 큰 공백이 생기겠지만 (불법 반입) 증거가 나왔기 때문에 이탈리아로 반환해야 한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게티 미술관은 이탈리아 문화부와 소장 중인 다른 4개 유물 반환도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게티 미술관은 그리스·로마 유물 전문 박물관으로 통할 정도로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유물이 가득하다. /연합뉴스
니시무라 야스토시 일본 경제산업상이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교도통신은 13일 니시무라 경제산업상이 이날 오전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고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시다 후미오 내각이 발족한 후 현직 각료가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사실이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니시무라 경제산업상은 자민당 최대 파벌인 아베파 소속으로, 지난 10일 개각 당시 각료로 다시 기용됐다.그는 방명록에 '중의원 의원 니시무라 야스토시'라고 적었고, 참배를 마친 후에는 "고(故) 아베 신조 전 총리를 생각하면서 일본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모든 힘을 다하겠다는 결의를 했다"고 전했다.이와 관련해 외교부는 "우리 정부는 일본의 과거 침략전쟁을 미화하고 전쟁 범죄자를 합사한 야스쿠니신사에 일본 정부 각료가 참배한 데 대해 깊은 실망과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야스쿠니 신사는 1869년 일본 수도 도쿄도 지요다구 구단키타에 세워진 일본 최대 규모 신사로, 일본이 일으킨 수많은 전쟁에서 사망한 군인·민간인 등 246만 6000여 명의 영령을 떠받드는 시설이다. 여기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범인 도조 히데키(東條英機·1884∼1948)를 비롯한 태평양 전쟁의 A급 전범 14명이 포함돼 있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중국 옌볜조선족자치주가 중국어를 우선으로 삼는 문자 표기 규정을 마련해 시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옌볜주 정부는 지난달 25일 '조선 언어문자 공작 조례 실시세칙'을 공포, 시행에 들어갔다. 이 세칙은 국가 기관·기업·사회단체·자영업자들이 문자를 표기할 때 중국어와 한글을 병기하도록 명시했다. 표기는 가로일 경우 중국어를 앞에, 한글은 뒤에 표기하고 세로의 경우 중국어를 오른쪽, 한글은 왼쪽에 하도록 했다. 이전에 제작돼 이 세칙에 부합하지 않는 현판과 광고 등 모든 표지판은 교체하도록 했다. 중국 내 유일의 조선족 자치주인 옌볜은 물론 랴오닝성 선양, 단둥 등 조선족이나 한국인 밀집 거주 지역에서는 한글을 주로 삼고 중국어를 병행하거나 한글 전용인 간판 등을 사용해왔다. 앞서 중국 정부는 2020년부터 소수민족 거주 지역의 수업을 중국 표준어로 통일하도록 했고, 교과서도 단계적으로 국가 통일편찬 서적으로 교체하고 있다. 이전에는 소수민족 지역 소학교(초등학교)에서는 해당 민족 문자의 교과서와 말로 수업했다. 이에 반발해 네이멍구(內蒙古) 자치구에서는 몽골족 수천명이 반대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중국 조선족들은 "수년 전부터 중국 정부가 중화 민족주의와 국가 통합을 강조하면서 개별 민족의 자치 공간이 축소되고 있다"며 "결국에는 모든 소수 민족이 한족으로 동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2019년 홍콩의 반정부 시위를 겪고, 독립 노선을 강화하는 대만과 갈등이 고조하자 중국은 소수 민족을 존중하던 입장에서 중화민족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쪽으로 선회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2021년 8월 7년 만에 민족 정책을 다루는 중앙민족공작회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