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난·취업난에 복권 인기…판매점 분위기도 젊어져"
경제 둔화 속에 중국 청년층의 복권 구매가 늘고 있다고 싱가포르 연합조보가 3일 보도했다.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중국의 복지·체육 복권 판매액은 3천757억위안(약 70조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51.6% 늘었다.
올해 중국 복권 판매량은 1월 332억위안→2월 418억위안→3월 308억위안→4월 503억위안→5월 500억위안→6월 487억위안→7월 489억위안→8월 529억위안으로 꾸준히 작년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8월 한 달만 따지면 지난해보다 53.6% 판매량이 증가한 것이기도 하다.
중국 재정부는 "중요 경기 등 행사가 늘고 신규 즉석 복권이 출시돼 복권 판매량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빠르게 늘었다"고 설명했지만, 연합조보는 "이런 현상의 배후는 경제적인 분위기와 뗄 수 없는 관계가 있다"고 짚었다.
눈에 띄는 변화 가운데 하나는 경제난과 공식 통계로도 20%를 넘긴 취업난 속에서 젊은이들의 복권 구매가 '사회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연령별 복권 구매자 통계는 따로 존재하지 않지만 중국 매체들은 복권 판매점 업주들이 입을 모아 "청년의 얼굴을 볼 일이 많아졌다"는 이야기를 한다고 전하고 있다.
최근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선 한화 300억원대 복권에 당첨되면 어떻게 할 것인지에 관한 해시태그가 4억회 가까이 조회됐고, 그 돈을 어떻게 쓸지 의견을 낸 사람이 수만 명에 이르기도 했다.
샤오홍수나 더우인(중국판 틱톡) 등 다른 소셜미디어(SNS)에서도 복권을 "생명을 구하는 지푸라기"로 보는 청년이 상당수 존재한다고 연합조보는 설명했다.
대학을 갓 졸업했다는 한 네티즌은 "환경이 이렇게나 엉망이니 당연히
김정은 겨냥 "역사의 흐름서 뒤처지는 지도자는 대가 지불"
"러 대북 무기·군사기술 제공은 도발…강력 대응"
"독일 통일 동독 주민의 자결권 행사…유럽 각국 북한과 대화 관여 요청"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2일(현지시간) 구동독 국가안보부 슈타지가 정치범들을 가두고 취조하던 구치소를 방문, "구동독보다 더 심각한 인권침해가 이뤄지는 북한에 개탄한다"면서 "하루빨리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가 폐지돼야 하며, 더이상 인권유린이 이뤄지지 않게 국제사회가 연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슈타지가 시민들을 감시·사찰한 기록이 보관된 슈타지 문서고를 방문한 자리에선 "책임자 처벌과 피해자 구제 및 추모 등 전환기 정의 구현을 위해서는 북한인권 침해 사례에 대한 조사· 기록·보존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장관은 독일 정부가 정치범수용소와 슈타지문서고를 자라나는 세대들의 자유민주주의 교육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것을 평가하며, 앞으로 북한인권 증진을 위해 두 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독일을 방문중인 김 장관은 앞서 특파원들과 한 오찬간담회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겨냥해 "역사의 흐름에 뒤처지면 반드시 대가를 지불하게 될 것"이라며 "21세기에 북한이 운영 중인 5곳의 정치범 수용소에 수십만명이 갇혀있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 장관은 또 "러시아가 북한에 무기나 군사기술을 제공할 경우 이는 한국에 직접적 위협이 되기 때문에 강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다"면서 "북한이 러시아에 폭탄 등 무기를 제공했다고 우크라이나 정부가 확인했는데, 러시아가 그 대가로 북한에 기술이전 등을
"중국 장비로 초심해 지진 탐사 작업은 처음"
중국이 남중국해 대부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가운데 자체 개발한 수중 탐사장비로 초심해 자원과 지진 탐지에 나섰다.
3일 중국 관영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중국해양석유그룹(CNOOC)은 자체 개발한 심해 탐사 장비 '하이징'을 활용해 남중국해 해수면 3천m 아래 초심해에 대한 종합 탐사를 진행하고 있다.
하이징은 각각 8㎞가 넘는 10개의 탐지 케이블을 활용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비로 지구물리탐사선 하이양 스여우 720이 견인한다.
이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는 해당 지역 해저 지질 지도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CNOOC 관계자는 CCTV에 "하이징은 심해 석유 매장량과 지진 탐지를 지원한다"며 "수입 장비와 비교해 하이징이 수집하는 지진 데이터의 해상도가 높다.
3천m 해저에서 작동하면 수만m 깊이 복잡한 지질학적 구조물의 정확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2Hz(헤르츠) 초저주파 신호를 감지할 수 있어 해양 지진 탐사 데이터의 정밀도와 데이터 품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광둥성 주하이의 남쪽에서 약 500㎞ 떨어진 심해에서 한 달 넘게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당 작업에서 하이징은 2천500㎢ 넓이 지역에서 실시간 지진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CCTV는 "중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심해 조사 장비를 활용해 초심해 지진 탐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집된 데이터는 해저 지층에 대한 상세한 지질학적 특성을 보여주며 석유와 가스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 대한 핵심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NOOC 관계자는 "우리는 중국의 에너지 공급망 보장을 위해 국산 장비를 활용해 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