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시 약속했던 금융시장 개방에 대비, 은행 건전화를 위해 은행권 부실채권(무수익채권) 정리에 박차를 가하고있다. 지난 99년 설립된 화룽(華融)자산관리공사를 포함해 4개 자산관리공사는 중국의4대 상업은행으로부터 그동안 총 1조4천억위앤(약 1천700억달러)의 부실채권을 인수했다. 화룽자산관리공사 양카이성(楊凱生) 총재는 22억달러 규모의 부실채권 매각을위해 뉴욕을 방문, 투자자들과 협의를 벌이고 있다. 중국이 이처럼 은행권 부실채권 정리에 박차를 가하는 데는 은행 건전화의 불가피성과 함께 위앤화 변동환율제 도입에 대한 국제적 압력에 대처하려는 이유도 있다. 홍콩.상하이은행(HSBC)의 추홍빈 이코노미스트는 "위앤화 (평가절상)와 자본계정 자유화에 대한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며 "중국이 이같은 대외 압력을 수용하지못하는 주된 이유는 아직까지도 은행 시스템이 불안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부실채권 유동화를 위해 중국 정부가 긴박하게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류의 채권 매각에 중국이 아직 초보단계인 데다 매각과정에 여러 어려움이따른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들이 지적하는 사항은 ▲부실채권에 대한 조직화된 문건이 충분하지 않고 ▲투자자들이 부실채권의 담보 부동산에 대한 통제권을 갖는데 어려움에 직면한다는점이다. 매각 대상 부실채권은 상당 부분은 담보 부동산 가액이 지금보다 현저히 낮았던지난 96년 이전에 집행된 것이고 중국 지방정부들은 외국투자자들이 담보 부동산을소유하지 못하도록 방해하고 있다. 또 외국투자자들은 부실채권을 '덩어리'로 매입하려 하면서도 과연 그들이 채권자로서 주의의무를 이행할 수 있으며 부실채권의 가치를 인지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베이징 'CMG 마혼'의 데이비드 마혼 전무는 "부실채권이 모두 '쓰레기'라는 소리는 아니다. 다만 과연 외국투자자들이 매입한 부실채권의 회수 가능성을 인지하고있는지, 어떤 인력을 동원 회수에 나설 수 있을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올 상반기까지 자산관리공사의 부실채권 회수율은 21.9%로 기록됐다. 미국 시티그룹의 이코노미스트 황이핑은 "자산관리공사의 부실채권 회수율이 25%라면 훌륭한 것이고 설사 그렇지 못해도 거시적으로는 큰 문제가 안된다"면서"오히려 은행들이 신규 여신을 건전하게 관리하는가 여부가 큰 문제" 라고 설명했다. (상하이 AFP=연합뉴스) economan@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