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이라크 정권교체에 이어 북핵에 대한외교적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라크와 북한을 겨냥한 대외정책 기조를 분명히 하는 반면 이른바 "악의 축" 국가의 하나로 지목한 이란에 대해서는 강온 양론이 대립해 이란핵 대응을 놓고 전략수립에 고심하고 있다. 미국은 이란의 핵개발 위협과 알카에다 추종세력 비호 등을 강력 비난하면서도이란의 핵개발 저지 및 알카에다 추종세력 척결에 대한 대응 전략을 놓고 국방부와국무부 등 강온파 간 이견으로 대(對)이란 전략 수립에 난조를 보이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15일 "부시 대통령이 이란에 대한 정확한 전략을 선언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다"고 지적하고 그러나 "국무부는 이란 지도부 개혁파와 대화를통한 해결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국방부는 권위적 이란 정권을 뒤흔들어 약체화하는방안을 모색하는데 더 중점을 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부시 행정부내 알력은 국무부든 국방부든 타부처의 정책 기선을 제압하기 위해 언론매체에 서로 정책 흠집과 불리한 정보를 흘리며 상대방을 비난하는선까지 이르렀다"며 "이란 정책을 둘러싸고 백악관의 콘돌리자 라이스 국가안보보좌관, 국무부의 콜린 파월 국무장관, 국방부의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 등 부시 행정부내 외교국방안보 수뇌부 간 이견이 표출되고 있다고 전했다. 부시 대통령은 2001년 1월 취임후 이슬람 신정국가 형태의 이란 정부가 핵무기개발을 추진하면서 국제 테러조직을 지원 비호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저지하기위한 전략정책 수립에 착수했으나 이라크전이 끝나고 북핵사태 해결을 위한 외교해법 모색에 착수한 지금까지도 종합 대응전략을 수립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무부 등 온건파는 1994년 미국과 북한간 제네바 핵협정을 모델로 이란핵 포기를 전제로한 원자로 건설 및 경제지원 방안을 이란에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그 같은 전략은 딕 체니 부통령과 럼즈펠드 국방장관 등 매파의 강력한 반대에 봉착해 무산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부시 행정부내에서 이란의 민주화와 핵개발 저지를 위해 현재의 이란 정권을 약체화하는 다각적인 정치군사외교적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강경론과 대화를 통한외교적 해법모색에 치중해야 한다는 온건론이 맞서고 있다. 그런 가운데 미국 의회 일각에서도 이란민주화법을 추진해 이란의 민주정권 수립에 미국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움직임까지 일고 있어 향후 부시 대통령의 전략선택 기조에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부시 행정부가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정권에 대해서는 대량살상무기 보유와 핵개발 저지 및 테러지원 차단을 명분으로 전면전을 통한 체제교체를 결행했고북한에 대해서는 핵개발 폐기를 원칙으로 다자틀속의 외교해법을 모색하면서 이를추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자회담과 대북 경제제재 등 다각적인 조치를 강구중인 상황이어서 더욱 이란 핵문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성수 특파원 s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