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북한의 핵 개발 위기 등 난제를 풀기 위해 어떤 결정을 내릴 때 맹방인 한국의 견해를 마땅히 존중할만 하다고 미국의 한반도문제 전문가가 밝혔다. 캘리포니아주 퍼모나대 프랭크 기브니 교수(정치학)는 5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LAT) 오피니언 면에 기고한 '미국, 성숙한 한국 중시해야' 제하의 글에서 이 같이 말했다. 기브니 교수는 "북한의 핵 도발과 한국내 반미주의 고조가 미국 대외정책에 중대한 문제로 부각했으나 노무현 한국 대통령 당선자가 앞으로도 한미동맹 관계의 중요성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고 밝혔으며 미국도 한국을 살아 움직이는 민주국가(working democracy)로 기억하는 편이 좋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기브니 교수는 이 기고문에서 노무현 당선자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대통령'으로 선출됐다고 쓰는 실수를 저질렀다. 퍼모나대 태평양연구소(PBI) 소장이자 '태평양 1세기" 변화하는 세계속의 미국과 아시아'의 저자이기도 한 그는 한반도와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전문가로 시사주간지 타임의 도쿄 지국장(1949-51), 종군기자로 활약했다. 기브니 교수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영변 핵 시설 플루토늄 처리시설 재개와 유엔 사찰요원 출국조치는 세계 여론에 충격을 줬지만 놀랄 만한 일이 아니라고 지적하고 북한이 경제적, 정치적 재앙에 놓여있고 주민들도 지독한 스탈린주의자의 손아귀에서 허덕이고 있다고 말했다. 기브니 교수는 지난 1997년 민주적 개혁가이자 서방의 가장 좋은 친구중 한 명인 김대중 대통령 당선 이후 한반도에서 남북 인적교류와 경제협력, 북한의 외부세계에 대한 점진적인 개방 등 '햇볕정책'이 추진됐으며 이 같은 정책은 당시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행정부의 지원을 받았지만 2000년 미국 대선에서 조지 W. 부시 후보가 집권하면서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고 꼬집었다. 특히 북한과 이란, 이라크에 대한 '악의 축' 발언 등 "부시의 '억지 끼워 맞추기식(one-size-fits-all)' 민주주의는 서울의 '햇볕정책'만 훼손하지 않고 김 대통령의 정치적 신뢰까지 파괴했다"면서 한국인들은 이로 비롯한 햇볕정책의 소멸에 대해 북한보다는 오히려 미국인들을 비난한다고 덧붙였다. 기브니 교수는 또 세대간 대결로 표현됐던 대통령선거에서 젊은 유권자들의 폭넓은 지지로 노무현 당선자가 차기 대통령으로 선출됐고 그도 역시 최근 북한 핵위기에도 불구하고 현 정부의 햇볕정책을 승계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기브니 교수는 이와 함께 지난 주 노무현 당선자의 측근이 북미간 핵 대치를 풀기 위해 절충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밝히면서 이러한 점들을 감안해 부시 대통령은 한국을 아프가니스탄과 중국 혹은 키르기즈스탄이 아닌 미국과 같은 움직이는 민주주의 국가라는 점을 기억하는 편이 좋다고 충고했다.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김용윤 특파원 = yykim@yonhap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