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원국제관계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소위원회(위원장 짐 리치)가 2일 주최한 북한 인권 청문회에서 대북 식량 원조와 인권상황 개선을 연계하자는 주장이 잇따랐다. 반면 올 여름 북한의 식량 재고 바닥으로기아가 재연할 조짐이 있으므로 즉각 새로운 식량 원조에 나서야 한다는 견해도 제기됐다. 홍콩에서 발행되는 영자 신문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의 제스퍼 베커 전 베이징(北京)지국장은 "대북 식량 원조를 협상 도구로 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경 없는 의사회'의 소피 델로니 북한 대표는 "식량이 필요한 사람에게 지급되지 않고 있다"는 탈북자들의 증언을 소개했다. 탈북자 이영국 씨도 식량 원조를 인권과 연계해야 한다고 말하고 탈북자에게 난민 지위를 인정하고 몽골과 러시아에 수용 인원 1만명 규모의 수용소를 세우는 한편중국의 탈북자 강제 송환을 막기 위해 국제사회가 압력을 가하라고 촉구했다. 탈북자를 지원하는 독일 출신 의사 노르베르트 폴러첸 박사는 "북한 주민을 살리는 유일한 길은 세계가 북한의 실정을 제대로 알게 하는 것"이라고 전제하고 "국제 사회가 언론의 협력을 얻어 북한의 개방과 인권 개선이 이뤄지도록 압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역시 탈북자인 이순옥(여) 씨는 북한에 살 때 신앙 문제로 받은 고문 때문에 치아 8개가 빠지고 왼쪽 눈이 실명 상태에 이르렀다고 증언했고 김성민 전 북한군 대위는 미국 의회가 탈북자 문제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존 파월 세계식량계획(WFP) 아시아 소장은 "지난 4년 동안 WFP와 북한당국 간에 신뢰가 쌓이며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하고 WFP 지역사무소가 평양이외에 5곳에 설치됐고 WFP 요원의 접근이 가능한 지역이 140여 군에서 163개 군으로 확대됐다는 점을 예로 들었다. 파월 소장은 북한의 식량 재고가 7-8월이면 바닥나기 때문에 새 지원이 없다면 심각한 기아 사태가 발생한다고 경고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도선 특파원 yd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