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는 더 큰 부자가 되고 싶어한다." 이는 워싱턴 포스트가 17일 사회주의 개방경제체제로 전환한 중국의 신흥부자들을 빗대어어 한 말이다. 워싱턴 포스트는 이날 "중국 부자, 더 '큰 부자'가 되는 게 꿈"이라는 제하의 1면과 24면 기사에서 중국이 개방경제체제를 채택한 후 거부로 등장한 벼락갑부들의 얘기를 소개했다. 신문은 "한 때 노동자들의 천국이라고 선언했던 중국은 이제 부유한 사람들의천국이 되고 있다"고 보도. 이 신문은 17세때 중국-베트남 국경분쟁에 참전했던 덩 홍씨 등 몇몇 신흥부자들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덩씨는 20세때 군문을 나와 의복판매상을 전전하다 30세때부동산 시장에 뛰어들어 백만장자로 거부가 된 인물이라고 전했다. 그는 부자가 된후 중국 처와 이혼하고 중국계 미 이민여성과 새로 결혼, 하와이와 실리콘 밸리에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으며 다시 중국시장에 진출해 사업을 벌이고있다는 것. 현재 41세인 덩씨는 중국 재진출 이유에 대해 "중국에서 거부가 되는 게 미국에서 부자가 되는 것보다 쉽다"며 "많은 미국인들이 아직도 중국에서는 인력거나 끄는것으로 알고 있으나 이는 착각"이라고 지적. 덩씨는 현재 페라리, 벤츠, 링컨 컨티넨탈, 지프 최신형 등 36대의 차를 갖고 있다. 베이징에만 현재 등록된 BMW 고급 승용차가 3천대 이상이고 벤즈 차량은 수천대에 이르며 우리돈으로 억대를 넘어서는 포르쉐는 현재 20대 이상이 등록돼 있다고신문은 덧붙였다. 중국 자동차 판매시장이 급성장하자 BMW는 금년말을 목표로 현지공장 준공을 서두르고 있다. 또 신문은 중국군 전차 부대장을 지내다 군을 나와 베이징을 비롯한 각지에 스테이크 점 체인망과 광고회사를 소유하고 있는 재력가 하오 야닝씨를 사진과 함께소개하며 중국의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부익부 빈익빈' 문제를 제기. 상당수 사회학자들은 신흥부자의 출현으로 인한 중국 사회의 계층간 골을 심각한 사회문제로 여기고 있는 반면 신흥 부자들은 사회적 불안을 야기할 만큼 심각하지 않다고 반론. 신문은 부시 대통령이 지난 75년 젊은 시절 베이징을 방문했던 일화를 거론, 부시 대통령이 당시 중국을 찾았을 때 사회경제와 오늘날의 중국은 `뽕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될 정도'로 달라졌다고 비유. 특히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7월 중국 공산당 창건 80주년 기념식에서 기업인을 비롯한 재계 인사들에게도 공산당원 입당 문호를 개방하겠다고선언해 중국 공산사회에 새로운 여건을 제공했다고 신문은 전언. 중국 공산당을 대표하는 3대 세력인 근로자, 농민, 군대이외에 중국 공산당이중국의 대표적인 생산계층인 부유층과 중산층의 이익도 대변하겠다고 밝힌 것은 사사실상 기존의 정책에서 180도 선회한 `코페니스쿠스적 전환"으로 평가된다는 것. (워싱턴=연합뉴스) 김성수 특파원 ssk@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