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왕하이(왕해.27)라는 젊은이가 중국을 떠들썩하게 하고 있다.

가짜상품만을 찾아다니며 이를 매입하고 생산업체에서 배상을 받아내는
가짜상품 저격수다.

가짜상품 생산자가 신고자에게 상품가의 2배를 물도록 한 소비자권리보호법
을 교묘하게 이용했다.

법대 출신인 그는 이 신종 사업으로 엄청난 부를 축적했고 다하이(대해)라는
가짜상품 퇴치 전문회사도 차렸다.

그는 소비자들의 우상으로 군림해왔다.

왕하이는 최근 다롄(대련)의 한 회사가 가짜상품을 판매하고 있다는 제보를
접하고는 가짜상품을 산 후 회사를 찾아가 사건 무마 조건으로 40만위안
(1위안=약 1백40원)을 요구했다.

이 사실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그의 이미지는 소비자의 우상에서 기업인의
등을 치는 악덕업자로 전락했다.

그는 이 일로 송사에 휘말렸고 그에 대한 이야기는 연일 주요 언론의 1면을
장식하고 있다.

왕하이의 사례는 가짜천국 중국의 오늘을 잘 대변해주고 있다.

가짜를 신고해 돈을 번다는 것 자체가 지극히 중국적인 현상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

중국의 가짜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구멍가게 담배에서부터 탱크에 이르기까지 없는게 없다는 말이 나돌 정도다.

중국 재래시장은 세계 유명브랜드의 집합지다.

모두 가짜라고 보면 된다.

우리나라 이태원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풍부하고 싸다.

베이징주재 한 상사원이 들려주는 얘기는 중국의 가짜상품 현주소를 너무도
잘 보여준다.

그는 노점상으로부터 예쁘장한 노란색 새 한 마리를 샀다.

그런데 어느 날 처마밑에 두었던 새가 비를 맞더니 몸에서 노란색 물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나중에 이 새는 참새로 바뀌었다.

컴퓨터프로그램 음반 등에서도 가짜상품은 여지없이 등장한다.

정가의 10분의1도 안되는 상품이 버젓이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경찰당국의 단속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해적 음반 및 컴퓨터프로그램 문제는 중국과 미국간 첨예한 통상 마찰을
빚기도 했다.

중국의 가짜상품 시장을 정확하게 보지 못해 실패한 우리나라 비즈니스맨도
적지 않다.

시장조사 단계에서 히트할 수 있다고 판단해 제품을 들여왔다가는 낭패를
보기 일쑤다.

상품이 시장에서 인기를 끈다고 생각되는 순간 똑같은 제품이 쏟아져 나오기
때문이다.

중국 가짜상품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베이징=한우덕 특파원 woodyhan@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2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