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앵글] 세계 최고 앤트워프증권거래소 폐쇄 직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증권거래소의 하나인 벨기에 앤트워프증권거래소가
올 연말 문을 닫게 된다.
북부 스헬데 강 유역에 자리잡은 이 거래소는 뉴욕증권거래소보다도 약
3백년 앞선 1531년에 설립돼 그동안 기업들의 자금조달원 역할을 해왔다.
5백년의 역사를 지닌 앤트워프거래소가 이런 운명을 맞게 된것은 컴퓨터
때문.
타 증권거래소가 앞다퉈 컴퓨터 시스템을 도입, 증권거래를 전산화하는
동안에 앤트워프는 수신호에 의한 거래를 고집해온 것.
거래에 불편을 느낀 기업들이 하나둘씩 이곳을 뜨게 된 것은 당연한 이치다.
현재 이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은 9개사뿐으로 하루 20여차례 6백만프랑
(18만달러)정도의 거래가 이뤄질 뿐이다.
이런 형편에 이르자 앤트워프 증권거래소 주주들은 마침내 두손을 들고
지난 6일 브뤼셀 증권거래소에 연말까지 흡수 통합시킨다는 결정을 내리고
말았다.
< 강현철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0일자).
올 연말 문을 닫게 된다.
북부 스헬데 강 유역에 자리잡은 이 거래소는 뉴욕증권거래소보다도 약
3백년 앞선 1531년에 설립돼 그동안 기업들의 자금조달원 역할을 해왔다.
5백년의 역사를 지닌 앤트워프거래소가 이런 운명을 맞게 된것은 컴퓨터
때문.
타 증권거래소가 앞다퉈 컴퓨터 시스템을 도입, 증권거래를 전산화하는
동안에 앤트워프는 수신호에 의한 거래를 고집해온 것.
거래에 불편을 느낀 기업들이 하나둘씩 이곳을 뜨게 된 것은 당연한 이치다.
현재 이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은 9개사뿐으로 하루 20여차례 6백만프랑
(18만달러)정도의 거래가 이뤄질 뿐이다.
이런 형편에 이르자 앤트워프 증권거래소 주주들은 마침내 두손을 들고
지난 6일 브뤼셀 증권거래소에 연말까지 흡수 통합시킨다는 결정을 내리고
말았다.
< 강현철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0일자).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