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2000억원 규모의 국내 골프공 시장을 놓고 전운이 감돌고 있다. 타이틀리스트가 휘어잡고 있는 시장을 빼앗기 위해 토종 대기업(코오롱)에 이어 요즘 가장 ‘핫’한 골프용품·패션 브랜드인 PXG도 뛰어들어서다. 골프클럽 강자인 스릭슨과 골프공 전문기업인 볼빅도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신제품을 내놓는 등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업계에선 골프공 마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해당 브랜드의 인지도·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골프공 전쟁’은 갈수록 심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29일 국내외 골프용품업계에 따르면 PXG는 이르면 다음달 자체 골프공(사진)을 처음 내놓는다. 미국 본사와 함께 PXG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에도 이른 시일 안에 선보일 계획이다. PXG는 그동안 골프채와 의류 등에서 쌓은 프리미엄 이미지에 걸맞게 골프공 가격을 타이틀리스트의 ‘Pro V1’ 수준(12개 7만원)으로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의 피스(piece) 수나 소재로 상품 라인을 다각화하는 기존 용품사들과 달리 1개 제품만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다.업계 관계자는 “PXG가 골프채와 옷으로 거둔 성공체험을 골프공으로 확산하려는 것”이라며 “PXG의 브랜드 이미지와 가격대를 고려할 때 타이틀리스트를 정조준한 것”이라고 말했다.골프업계에선 그동안 골프공 시장을 라면 시장에 빗댔다. ‘절대 강자’가 버티고 있어 3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변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골프공 시장에서 타이틀리스트는 라면시장의 농심처럼 국내시장 절반가량을 점유하고 있다. 수많은 골프용품 업체가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챔피언’은 빈틈을 내주지
미국프로골프(PGA)투어는 웬만해선 규정이나 지침을 바꾸지 않는다. 새로운 트렌드를 따라가기보다는 오랜 전통을 지키는 게 더 가치가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복장에서도 같은 원칙을 적용한다. 긴바지가 원칙이다. 골프는 단정하고 품격 있는 스포츠란 게 이유다. 선수들이 반바지를 입을 수 있는 건 연습 라운드에서만이다. 그나마 2015년까지는 연습 때도 긴바지를 입어야 했다. 라이벌 격인 리브(LIV) 골프는 최근 대회 때도 선수들의 반바지 착용을 허용했지만 PGA는 요지부동이다.그러다 보니 29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토리파인스GC 남코스(파72·7765야드)에서 열린 파머스인슈어런스 최종4라운드에서 가장 눈길을 끈 건 사람이 아니라 ‘바지’였다. 샘 라이더(34·미국·사진)가 흔히 ‘추리닝’으로 불리는 ‘조거(jogger)’를 입고 출전해서다. PGA투어는 바지 길이만 규제 할 뿐 조거 착용을 금지하지는 않는다.그래서 가끔 조거를 입고 나온 선수들이 있었다. 리키 파울러(35·미국) 가 2016년 처음 조거를 입었고, 이후 에릭 반 루옌(33·남아공) 등 몇몇 선수가 입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되기도 했다.처음이 아닌데도 이번 라이더의 복장이 화제가 된 건 색깔과 길이 때문이다. 통상 남성골퍼들이 입지 않는 적갈색(maroon)에 길이도 짧아 발목 위까지 맨살이 드러났다. 그가 최종 라운드를 시작할 때 2타 차 단독 선두여서 카메라가 줄곧 따라다닌 것도 이목을 끄는 데 한몫했다. 미국 골프 위크는 “라이더 복장은 이날 가장 큰 토론 거리였다”며 “많은 갤러리가 라이더 의 패션을 좋아했지만 몇몇은 정말 싫어했다”고 전했다.146경기
로리 매킬로이(34·북아일랜드)가 28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의 에미리트GC에서 열린 DP월드투어 히어로 두바이 데저트 클래식 2라운드 8번홀에서 두 번째 샷을 하고 있다. 중간합계 8언더파 136타를 적어 내 공동 7위에 오른 그는 3라운드에서 LIV 시리즈 소속 선수 베른트 비스베르거(오스트리아)와 한 조로 경기한다. 매킬로이는 LIV 시리즈가 막대한 자금력을 앞세워 미국프로골프(PGA)투어 선수들을 영입할 때 대립각을 세우며 PGA에 남은 대표적인 선수다. AP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