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리더의 시각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위원지난 3월 한때 배럴당 130달러까지 돌파해 인플레이션 우려를 고조시켰던 유가(WTI, 브렌트유 등)가 6월 중순부터 약세로 전환되었다. 상반기 유가 급등세는 러-우 사태 이후 반복되는 서방의 대러 제재가 전 세계 석유 시장의 공급 불확실성을 높인 데 기인했다. 반면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경계 속 중앙은행들의 공격적인 긴축은 6월부터 전 세계 석유 수요 전망을 후퇴시켰다. 이는 드라이빙 시즌(6~8월, 연중 최대 성수기)에도 불구한 단기 유가의 하방 압력을 확대, WTI 유가가 100달러에 이어 한때 90달러까지 하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중기적으로는 미국을 중심으로 석유 수요 위축 우려를 부각시켜온 악재들이 점차 완화될 전망이다. 배럴당 100달러를 하회한 현재 유가가 소비자 부담을 다소 완화하는 가운데 난방 시즌(12~2월)을 준비하는 11월 전까지 정유 제품 재고 증가세도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수기 정유시설 유지 보수(가동률 하락)에 따른 명목 수요 둔화, 동 기간 원유 재고 증가세는 여전한 부담이다. 반면 정유 제품(휘발유, 정제유 등) 재고 감소세가 추가 악재를 상쇄, 배럴당 80달러 부근에서 유가 하방경직성을 지지할 것으로 판단된다.경기침체 확산 우려로 6월 이후 하락한 유가OPEC+ 공급 정책은 ‘유가 하방경직성 강화’로 방향성을 전환OPEC(석유수출국기구) 회원국들과 러시아를 비롯한 동맹국들(이하 ‘OPEC+’)의 석유 공급 정책 방향성도 ‘유가 하방경직성 강화’로 전환되는 모습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직후 사상 최대 감산(일평균 970만배럴)을 단행한 OPEC+ 산유국들은 2021년 하반기부터 ‘점진적인 공급 정상화’
메리츠증권은 18일 씨에스베어링에 대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통과의 최대 수혜주로 평가했다.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IRA와 풍력 산업에 대한 세제 혜택(PTC) 효과는 내년 1분기부터 실적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신규 고객사 발굴로 인한 추가적인 모멘텀도 기대된다. 문 연구원은 “베리타스, 지멘스 가메사 등 고객사 발굴이 가시화 단계”라며 “현재 주요 제품들이 테스트 단계에 접어들어 4분기내 승인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회사인 씨에스윈드의 네트워크와 풍력 전용 베어링 업체로서의 기술력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장기적으로는 GE를 제외한 매출 비중을 50% 이상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한편 문 연구원은 “씨에스베어링의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은 9억5000만원”이라며 전분기에 이어 적자를 지속했다”고 밝혔다. 전분기 대비 매출액은 22.4% 늘었다. 다만 “3분기에는 국내 공장의 고정비 부담이 줄어들고 베트남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할 전망”이라고 예상했다.장관진 기자 jk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