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프닝 수혜주로 꼽혔던 항공주가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여행객 증가, 유가 하락 등의 호재에도 코로나19 재확산 등 항공 수요 회복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들이 남아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9일 아시아나항공은 0.99% 하락한 1만5050원에 장을 마쳤다. 최근 1개월간 2.03% 오르는데 그쳤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폭(6.97%)에 비해 5%포인트 가량 낮은 수치다.최근 1개월간 진에어도 3.24% 오르는 데 그쳤다. 제주항공(2.65%), 티웨이항공(3.84%)도 비슷한 형편이다. 대한항공 정도만 최근 1개월간 7.25% 올라 코스피지수 상승률과 비슷한 수준이다.항공주는 대표적인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 수혜주로 분류됐다. 국제여행객 수가 늘면서 실적 개선도 기대되고 있어서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7월 국제선 여객은 전년대비 532% 증가한 185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월대비 44% 증가한 수치다. 국내선 여객도 전년대비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유가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기준 배럴당 90달러까지 하락해 비용 부담이 줄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여객 회복세가 더뎌진 점을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꼽았다. 유승우 SK증권 연구원은 “국제여객의 회복세가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며 “항공기 공급 부족으로 여객 운임도 다소 높게 유지되고 있어 기대만큼 여행 수요가 회복하지는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미래에셋증권이 올해 상반기 기준 잠정(연결재무제표기준) 6059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국내 증권사 전반적으로 어닝 쇼크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수익 다변화와 선제적 위기 대응을 통해 상반기 증권업계 최고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미래에셋증권은 9일 올 상반기 영업이익 605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대비 29.00% 줄었지만,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상반기 컨센서스(5428억원)보다 11.62% 상회했다. 세전순이익 6268억원을 기록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상반기 금리인상 급등에 따른 채권 평가손실과 증기 변동으로 인한 거래대금 감소에도 해외법인의 실적 성장과 투자은행(IB) 부문의 안정적인 수익 달성, 해외 주식을 포함한 해외물 수수료 수입이 증가하면서 호실적을 견인했다. 2분기 미래에셋증권의 해외법인 세전순이익은 64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13.3% 증가했다.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별 특성에 따라 주식 중개 서비스, IB 등 핵심 비즈니스를 수행하면서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다각화된 투자 포트폴리오에 기반해서 2분기 운용순익에서도 1100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IB부문의 전체 수익도 1064억원에 달했다. 또, 국내 주식 거래 감소로 인해 2분기 전체 위탁매매 수수료 수익은 1338억에 불과했지만, 해외주식을 포함한 해외물 수수료 수입이 385억원을 달성하면서 실적 하락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