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에서 ‘WOW스타P2P’를 친구 추가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카카오톡에서 ‘WOW스타P2P’를 친구 추가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난주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고, 유럽중앙은행(ECB)도 긴축정책을 시사한 바 있다. 앞선 미국의 실업률 개선과 고용지표 호조로 FOMC의 정책금리 인상안은 예상했던 터라 시장의 충격은 제한적이라 하더라도 여전히 신흥국의 금융위기 및 글로벌 무역분쟁과 맞물려 하반기 글로벌 증시의 상승에 제약 요인이 될 것으로 본다.

당초 미 중앙은행은 기준금리 인상계획을 연내 3회로 제시했으나, 이번 통화정책 회의 후에 연말까지 두 차례 추가 인상할 것을 시사함으로써 미국 통화정책 변화의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미·북 정상회담 이후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기대하고 내심 외국 자본의 유입을 바라는 우리 증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연 1.5%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미 간 정책금리 차이는 0.5%포인트로 확대됐다.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이 확실시되고 향후 정책금리 격차가 더 확대된다면 당장 우리 증시에서 외국자본 이탈은 아니더라도 중기적 관점에서는 내재된 위험요소가 아닐까 고민스런 대목이다. 과거 미국의 금리인상 시점에 경험한 신흥국 증시의 긴축발작이 재연되면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 확대도 우려된다. 물론 74개월 연속 경상수지 흑자 성적이나 4000억달러에 이르는 외환보유액 등의 대외 건전성을 놓고 보면, 취약한 신흥국의 위기가 쉽게 한국 증시로 전이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 3월에 한·미 금리가 역전됐을 때도 자본 유출은 없었고 오히려 채권 시장으로는 자금이 유입됐다는 점도 다행스럽다.

문제는 시장이 3월 이후 꽤 오랫동안 횡보국면을 거치면서 매수심리가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 시장에서 높아진 3분기 내 금리인상 안이 자칫 매수심리를 꺾을까 우려된다. 하반기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상 시장에 충격을 덜 주는 조심스런 대응전략이 요구되는 이유다. 투자자들도 시장변수에 따른 즉흥적인 매매패턴보다는 기본적인 펀더멘털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카카오톡에서 ‘WOW스타P2P’를 친구추가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