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중앙은행(Fed)이 다음주 통화정책회의(FOMC)를 열고 올해 두 번째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국내 주식·채권 전문가들은 '6월 금리인상'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증시의 방향성을 바꾸지 못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제임스 코미 전 미 FBI국장의 의회 증언을 시작으로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이 언급되고 있는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정책회의(8일),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오는 13일부터 이틀간 진행될 미 FOMC가 단기적으로 국내 증시에 최대 변수다. 다만 금리인상이 단행되더라도 그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증시전문가들은 판단했다.

박종연 NH투자증권 채권전략 담당 연구원은 "대표적인 비둘기파로 알려진 라엘 브레이너드 Fed 이사가 '물가지표의 약화가 지속될 경우 통화정책 경로를 재평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금리가 올라가도 급진적인 정책기조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얘기"라고 강조했다.

지난주 미국의 고용지표 부진도 Fed의 '완화적 스탠스'에 무게를 실어줄 것이란 분석이다.

배성영 KB증권 시장전략팀 연구원은 "지난 주말 미 고용지표 부진(비농업부문 13만5000명 증가, 예상치 18만5000명)에도 불구하고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 경신에 성공했다"면서 "이로 인해 고용 부진이 오히려 Fed의 완화적 스탠스를 연장시킬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미국의 5월 신규 고용 시장은 기대치를 밑돌았지만, 증가율 추세는 여전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과 5월에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와 1.8% 증가했으며 Fed가 지속 가능한 신규 고용인 수로 판단한 수준(7만5000명~12만명)을 모두 웃돌았다.

상황이 이러한 가운데 미국과 유럽의 정치적 불확실성과 함께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불거지고 있는 것. Fed의 금리인상에다 대외 이슈가 맞물려 안전자산으로 글로벌 자금이 쏠린다면 한국 등 신흥국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정현 IBK투자증권 투자전략팀 연구원은 "만약 ECB 회의에서 테이퍼링의 구체화 가능성이 수면 위로 올라오면 달러화의 약세 심리가 좀 더 강해질 수 있지만, 그 반대라면 달러화 반등의 촉매가 될 수 있다"라고 판단했다.

이어 "강(强)달러는 시장에 단기 과열 논란을 가져와 주가 조정의 빌미로 작용될 수 있다"면서 "게다가 유럽의 정치적 불확실성은 지난 4월부터 다시 유입 중인 유럽계 자금의 이탈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의 채권시장에서도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심리가 강해지고 있어 주목된다. 미 10년물 금리는 현재 지정학적 및 정치적 리스크 등으로 2.14%까지 하락, 올해 최저치를 기록 중이다.

김상훈 KB증권 채권 담당 수석연구원은 "이 금리 수준은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 당선(11월 8일) 직후 급등한 11월10일 이후 최저 수준"이라며 "미 30년물 금리도 2.81%로 미 대선 후 최저치로 내려갔다"라고 말했다.

영국 총선에서 보수당과 노동당의 지지율 격차 축소, 코미 전 FBI 국장 증언,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부추기고 있다는 게 김 연구원의 설명이다.

반면 위험자산 선호 기조가 당분간 바뀌지 않을 것이란 전망 역시 팽팽하다.

문정희 KB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5월 중 달러화는 트럼프의 정치 리스크 부각으로 완만한 하락세를 보였다"며 "더욱이 미국의 6월 금리인상 확률이 90%로 거의 확실함에도 불구하고 정치 리스크가 달러 신뢰를 약화시킨 것"이라고 판단했다.

배성영 연구원도 "2015년 연말부터 미국이 금리인상 사이클로 진입했지만, 금리인상에도 달러화는 오히려 약세 압력을 계속 받고 있다"면서 "현재 Fed의 스탠스가 2005년보다 완화적이라는 점 그리고 유로존(유로화 사용국)의 경기 회복 강도가 세지고 있다는 점 등에서 완만한 달러 약세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하다"라고 내다봤다.

정현영 한경닷컴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