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4.13 총선에서 야권이 승리하면서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진행 중인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야권에서 추진하는 대기업의 지배구조 개선 등을 포함한 경제민주화 관련 정책들이 힘을 받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증시 전문가들은 특히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작업이 이번 총선으로 달라질 수 있다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4일 한국투자증권은 이번 총선에서 야권인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의미있는 성과를 거둠에 따라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 작업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 증권사 윤태호 연구원은 "현 정권의 임기가 1년 반 남짓 남은 상황이고 4.13 총선으로 경제민주화 정책이 힘을 얻게 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삼성그룹 조기 지배구조 개편설이 설득력 있다"고 분석했다.

총선과 내년 대선 이전 정치권의 변화를 예상하기 힘든 상황에서 삼성그룹이 막연히 지배구조 개편을 미루고 기다리기는 힘들 것이란 게 윤 연구원 판단이다.

그는 "삼성그룹은 올해 상반기 중 굵직한 수준의 사업 개편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특히 삼성생명 중심의 금융지주회사 설립이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윤 연구원은 "삼성생명은 인적분할을 통해 삼성금융지주와 삼성생명 사업회사를 설립할 것"이라며 "인적분할 이후 오너 일가가 지분 스와프를 한다고 가정하면 일가는 삼성금융지주 지분 43.0%를 갖고, 삼성금융지주는 삼성생명 지분 31.0%를 보유하게 된다"고 말했다.

또 "금융지주회사법상 계열사 지분 정리에 최장 7년이 주어지므로 삼성생명은 지주 전환 후 해당 기간 동안 삼성전자 지분 정리가 가능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가능한 많은 지분이 삼성물산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연구원은 다만 "지난해 말 기준 삼성물산의 현금성 자산은 1조2000억원, 올해 예상 순이익은 3300억원에 불과하다"며 "삼성전자 지분 1% 매입에 1조8000억원이 드는 상황이지만 삼성물산의 현금 확보 방안은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삼성전자 지분 확보를 위해 삼성물산이 취할 수 있는 방안은 내부 사업부 매각이나 계열사 지분 매각을 통한 현금 확보 등이라고 분석했다.

윤 연구원은 궁극적으로 삼성그룹의 지주회사는 삼성물산과 삼성전자홀딩스의 합병 법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그는 "삼성물산이 지주회사가 되면 자동적으로 삼성전자 사업회사의 최대주주는 삼성생명에서 삼성물산(전자홀딩스 합병)으로 바뀐다"며 "금융지주 설립과 물산의 지주 전환이 순차적으로 이뤄지면 삼성생명은 삼성전자의 최다 출자자로서의 부담을 덜어내게 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번 4.13총선 결과로 삼성그룹 등 대기업 지배구조 개편 작업이 오히려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각각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규제를 중심으로 한 경제민주화와 공정성장론을 강하게 추진할 가능성이 높은만큼 향후 일정은 물론 기존에 진행하던 작업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예컨대 지배구조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있는 금산분리(금융과 산업자본의 분리)에 있어 더민주는 재벌개혁을 위해 이 원칙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배구조 문제와 연관있는 중간금융지주회사법(지주회사가 중간금융지주회사를 두고 금융계열사를 보유하도록 하는 것)도 야권 반대에 부딪혀 지난 19대 국회에서 계류하다가 자동폐기됐다.

익명을 요구한 한 증권사 지배구조 담당 연구원은 "얼마 전까지도 대기업 사이에서는 정권이 바뀌기 전에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빨리 마무리해야 한다는 얘기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 총선으로 이런 작업들이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받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물산의 지주회사 전환이나 삼성생명 금융지주회사 설립 등도 앞으로 갈수록 어려워질 것"이라며 "특히 현재로서는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지분 처리 문제가 방법이 없는 수준"이라고 설명헀다.

이 연구원은 "삼성그룹 외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진행 중이거나 준비 중인 다른 대기업들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많다"며 "새누리당이 여당이던 상황에서도 기업에 유리한 여러 법안들이 통과되지 못했는데 앞으로는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민경 한경닷컴 기자 k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