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 시장의 양극화는 금융당국의 오랜 해결과제다. 회사채 신속인수제, 담보부사채 및 하이일드펀드 활성화 등 매년 시장을 살리기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초우량 회사채에 몰린 기관투자가의 수요를 분산시키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금융위원회가 다시 한번 회사채 시장을 살리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은 실적 부진 속에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심상치 않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금융위는 지난해 12월 기획재정부 법무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등 유관기관과 ‘회사채 시장 활성화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단기와 중장기 두 가지 측면에서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

우선 당장 비우량 회사채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A등급 회사채에 대한 산업은행의 매입물량 확대, 하이일드펀드 투자대상 편입 역시 이런 배경에서 검토되고 있다. 당초 A등급 회사채의 미매각 물량을 한데 모아 만든 상품에 정책금융기관이 투자하도록 하는 방안, 여러 신용등급의 채권을 한데 묶어 새로운 신용등급을 매기는 방안 등도 검토했지만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 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연금 등 ‘큰손’ 기관투자가의 참여 확대 방안도 내놓을 계획이다. 우량 회사채에 주로 투자하는 연기금의 투자 기준을 신용등급이 다소 떨어지는 회사채에도 투자가 가능하도록 바꾸고, 민간연기금투자풀 등을 활용해 수요를 확충할 방침이다. 민간연기금투자풀은 공제회, 대학기금, 기업 사내근로복지기금 등 1800여개 중소형 연기금의 운용자금을 한데 모은 투자대행기구로 지난해 9월 출범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 대책과 함께 중장기적으로 회사채 시장의 근본적인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