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화장품의 중국 수출이 증가했다는 소식에 화장품 관련주들이 들썩이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달 중국의 국가별 화장품 수입금액을 분석한 결과,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3.4%로 프랑스 다음인 2위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170% 이상 증가한 수치다.
한국 화장품업체들의 적극적 중국 진출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중국인들의 한류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높은 만큼, 화장품주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감이 있는 만큼, 덮어놓고 투자하기보다는 중국 수출 실적을 면밀히 파악 후 투자할 종목을 고르는 것이 현명하다.
지속적 성장세가 예상되는 좋은 종목을 찾았는데 매입자금이 부족해 고민 중인 투자자라면 스탁론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스탁론은 자기자본의 최대 4배까지 활용이 가능하며 매입한 종목의 주가가 상승할 경우 몇 배의 수익을 내는 것이 가능해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주요할 레버리지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낮은 담보비율로 인해 추가 담보나 종목 매도 없이 미수/신용을 간단히 대환할 수 있어 반대매매 위기가 오더라도 오랜 기간 종목을 보유하며 반등 시기를 기다릴 수 있어 유용하다는 평가다.
◆ 한경닷컴하이스탁론 연 3.1% 최저금리 연계신용 상품 출시
한경닷컴하이스탁론에서 연 3.1%의 최저금리 증권 연계신용 상품을 출시했다. 스탁론은 본인 증권 계좌의 주식 및 예수금을 담보로 주식 추가 매수가 가능한 서비스다. 본인자금의 최대 4배까지 활용 가능하며 주식을 매입하려는 투자자들 및 증권사 미수 신용을 스탁론으로 대환하려는 투자자들이 폭 넓게 수요를 형성하고 있다.
이용 금리도 연 3.1%에 불과하며 필요할 경우 마이너스통장식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합리적이다. 수익이 나면 스탁론을 상환하지 않고 현금을 인출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매력적인 부분이다.
한경닷컴하이스탁론의 새로운 상품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투자자는 고객상담센터(1599-0313)로 연락하면 대출 여부와 상관없이 24시간 언제든 전문상담원과 편리한 상담이 가능하다.
코스피, 10.75% 상승…외국인 1분기 7조 순매수 코스닥지수가 올해 1분기에 '동학개미'의 주식 매수에 힘입어 25% 가까이 올랐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지수는 지난 달 31일 847.52로 마쳐 작년 말(679.29)보다 24.77% 상승했다. 코스닥지수 상승을 이끈 주역은 개인이었다. 올해 1분기 코스닥시장에서 개인은 3조9천797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면서 지수를 끌어올렸다.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2조7천819억원, 3천917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코스피도 작년 말 2,236.40에서 1분기 말 2,476.86으로 10.75% 상승했다. 대장주 삼성전자 주가는 실적 부진 우려에도 작년 말 5만5천300원에서 6만4천원으로 15.7% 올랐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투자자별 매매 동향을 보면 외국인이 개인과 기관이 차익실현을 위해 내놓은 매물을 받아내면서 지수를 방어했다. 석 달간 외국인은 7조839억원어치를 순매수했으나 개인과 기관은 각각 5조5천359억원, 2조3천518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1분기 국내 증시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코스닥 상장사인 셀바스헬스케어로 석 달 새 411.48% 급등했다. 챗GPT(Chat GPT) 열풍 속에 인공지능(AI) 관련주인 셀바스헬스케어에 투자자들이 대거 몰렸다. 다음으로, 에코프로 주가가 10만3천원에서 49만8천500원으로 383.98% 올랐고 자이글(342.10%), 엠로(320.53%), 셀바스AI(319.64%) 등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선 금양(228.45%), 코스모신소재(197.10%), 이수화학(162.36%), TCC스틸(152.94%), 코스모화학(142.58%) 등 종목들이 상승률 상위에 올랐다. 반면 1분기에 주가가 내린 종목을 보면 코스닥시장에선 뉴지랩파마(-87.92%), 노블엠앤비(-86.58%), 에스디생명공학(-72.52%), 스튜디오산타클로스(-68.57%), 국
골드만삭스 "K칩스법 덕에 삼성전자 올해 주당순이익 추정치 38% 상승" "2차전지에서 반도체로 주식 비중 옮기는 것 고민할 때" 반도체 업황 바닥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지난달 증시에서 반도체 업종의 수익률이 가장 높게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증권사들도 반도체 대장주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한 달간 SK하이닉스, DB하이텍, 한미반도체 등 반도체 종목 41개를 편입한 'KRX 반도체' 지수는 12.78% 상승했다. 이 같은 상승률은 KRX 업종지수 28개 중 가장 높은 수치다. 2차전지 관련주 등이 속한 KRX300 소재(11.34%), KRX 에너지화학(10.92%)의 상승률이 그 다음이었다. 최근 반도체 업종의 상승은 올해 상반기 반도체 업황이 바닥을 찍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되면서다.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3% 줄어든 1조280억원을 기록하고, SK하이닉스는 3조5천83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미국 긴축 종료와 AI(인공지능) 수요 확대 기대감 등에 더해 미국 증시에서 메모리 반도체 관련주인 마이크론이 시장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으면서 업계 낙관론이 힘을 얻기 시작했다. 연초 대비 삼성전자는 15% 올랐고, SK하이닉스는 18% 올랐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상반기 최악 수준의 적자를 내겠지만, 하반기부터는 실적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부각할 것으로 기대한다. 지난달 말에만 신한투자증권(7만→8만2천원), NH투자증권(7만2천→7만9천원), 키움증권(7만3천→7만8천원) IBK투자증권(7만→8만원) 등 증권사가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올려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