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6월 11일 오후 2시 10분

요즘 주요 증권사의 기업공개(IPO) 부서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경기침체 등의 여파로 상장을 준비하는 기업이 자취를 감췄기 때문이다. 2011년 74개에 달했던 신규 상장업체 수는 지난해 28개로 ‘3분의 1 토막’이 났고, 올 들어서도 5월까지 13개에 그쳤다. 그나마 덩치가 큰 유가증권시장 상장업체는 DSR 한 곳뿐이었다. 그러다 보니 올해 1~5월 공모액(2508억원)은 ‘유례없는 불황’이라던 작년 같은 기간보다 36%나 쪼그라들었다.

한국거래소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와 함께 2만개에 육박하는 비상장 외부감사법인의 지난해 실적을 전수 조사하게 된 배경이다. 거래소는 주요 증권사들과 함께 이번에 확보한 상장요건 충족 비상장 법인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IPO 권유 작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위기의 IPO…'알짜기업' 깨워라] 숨은 '알짜' 6226社…10%만 상장해도 증시 '업그레이드'

○잠자고 있는 6200여개 ‘우량 기업’

작년 실적 기준으로 증시에 상장할 수 있는 재무요건을 갖춘 비상장 기업은 모두 6226개다. 이 중 유가증권시장 상장가능기업 수는 793개로,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수(723개)보다 많다. 코스닥시장 상장가능기업 수(5433개)는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수(986개)의 5배가 넘는다.

수익성도 ‘알짜 비상장 기업’이 오히려 상장기업을 앞섰다. 지난해 유가증권시장 상장가능기업들의 평균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8900억원, 585억원, 470억원으로 평균 6.57%의 영업이익률과 5.28%의 순이익률을 기록했다. 12월 결산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의 지난해 평균 영업이익률(5.10%)과 순이익률(3.88%)을 앞선다.

코스닥시장도 마찬가지다. 코스닥 상장가능기업 5433개의 평균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7.22%와 6.82%로, 코스닥 상장사 평균(영업이익률 5.59%, 순이익률 3.33%)을 압도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유가증권시장 후보기업 중 55.2%는 지난해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며 “코스닥 후보기업 역시 270개가 흑자로 전환하는 등 모두 3126개(57.5%) 업체의 영업이익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인도·대만보다 못한 한국 자본시장

우량 기업의 증시 입성은 복합적인 경제 효과를 가져온다. 일단 금융 선진국에 비해 취약한 국내 자본시장을 키우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시가총액(올 4월 기준) 비율은 99.1%로, 홍콩(1107.7%) 미국(124.4%) 영국(155.9%)은 물론 대만(160.4%) 인도(136.5%)에도 못 미쳤다.

경제 규모에 비해 증시 사이즈가 작다는 것은 기업의 자본조달 창구이자 개인 및 기관들의 주요 투자처인 자본시장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홍식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은 “자본시장도 사람의 몸처럼 ‘새로운 피’가 들어오지 않으면 쇠락할 수밖에 없다”며 “우량기업이 꾸준히 상장해야 시중에 떠도는 부동자금과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입되고, 그래야 증시도 ‘기업의 자금조달 창구’란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고 했다. 그는 “기업이 상장하면 새로 확보한 공모자금으로 설비투자에 나서고 고용도 늘리게 된다”며 “상장은 ‘투자·고용-이윤 확대-세수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고리의 출발점”이라고 덧붙였다.

알짜 기업들의 상장은 저금리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투자자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국민 노후생활의 안전판 역할을 하는 국민연금만 해도 그렇다. 국민연금은 작년 말 73조원 수준인 국내 주식투자 규모를 2018년까지 133조원으로 두 배 가까이 늘리기로 했다. 대형주 위주로 투자하는 국민연금의 특성상 우량 기업들이 새로 유입되지 않으면 투자기업 포트폴리오가 무너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임홍재 대신증권 투자은행(IB) 본부장은 “우량 기업의 증시 입성은 국민연금 등 ‘큰손’은 물론 은행예금으론 더 이상 살기 힘들어진 개인투자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수익창출 기회를 안겨준다는 의미도 있다”며 “우량 비상장기업 가운데 10%만 증시에 들어와도 국내 자본시장은 크게 업그레이드될 것”이라고 말했다.

○거래소, 상장기업 법인세 감면 요청

증권가에선 상장하기 좋은 시점이 왔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국내 기업들의 펀더멘털을 감안하면 향후 증시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이유에서다. 여기에 상장을 추진하는 기업이 크게 줄어들면서 증권사들의 IPO 관련 수수료가 떨어진 반면 서비스는 좋아졌다.

박근혜 정부가 내세운 ‘창조경제’도 IPO 시장에선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가 창업·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설립한 지 3년 넘은 일반기업만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수 있었던 요건을 없애는 등 코스닥 상장 문턱을 낮췄기 때문이다.

이재원 키움증권 IPO담당 이사는 “IPO를 준비하는 중기·벤처라면 정부가 상장에 각종 혜택을 주는 이 시점을 노려야 한다”고 말했다.

거래소는 신규 상장기업에 대해 법인세를 감면해주는 방안을 정부에 요청키로 하고, 한국세무학회에 관련 연구용역을 맡겼다. 거래소 관계자는 “법인세 감면을 통해 신규 상장기업이 늘어나면 국가경제적으로는 ‘플러스 효과’가 나올 것”이라며 “당장 증권거래세가 늘어날 뿐 아니라 공모자금을 통한 신규 투자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재계의 화두로 떠오른 ‘경제민주화’도 우량기업을 증시로 이끄는 유인책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권의 타깃이 되고 있는 대기업 오너 소유 비상장 계열사를 상장하는 것만으로도 ‘오너 일감 몰아주기’ 논란이 어느 정도 해소된다는 이유에서다.

상장회사협의회 관계자는 “상장하면 주식이 분산되는 만큼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며 “회사 정보를 공시를 통해 모든 투자자에게 공개하면 기업 투명성뿐 아니라 경쟁력도 강화된다”고 말했다.

심은지/오상헌/허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