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내서 투자하는 건 망하는 지름길이다."
증권시장의 금언(金言)이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주식이나 선물 거래를 위해 빚을 내 자금을 마련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이중 상당수는 저소득층과 임시ㆍ일용직, 20대 가장 등의 취약계층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금융위기 이후 먹고 살기가 빡빡해진 사람들이 '일확천금'을 노리고 주식시장에 유입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

◇취약계층, 빚내서 주식투자
12일 금융투자업계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증권투자금 마련을 위한 담보대출 규모는 2012년 기준으로 부채보유 가구당 31만2천원으로 집계됐다.

2010년 15만9천원보다 96.4% 증가한 금액이다.

담보는 거주 중인 주택을 비롯한 부동산과 자동차, 예금, 적금, 보험, 펀드, 채권 등이었다.

담보대출뿐 아니라 마이너스 통장을 비롯한 신용대출도 같은 기간 가구당 11만2천원에서 24만원으로 갑절 넘게 불었다.

가장 큰 특징은 저소득층과 임시ㆍ일용직, 자영업자 가구가 증권투자 목적으로 빌리는 돈이 훨씬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소득 하위 20% 가구의 증권투자 목적 담보ㆍ신용부채 합계는 2010년 가구당 1만1천원에서 2012년 18만9천원으로 2년 사이 17배로 늘었다.

같은 기간 소득 중위권(40~60%) 가구의 관련 부채는 6만8천원에서 18만6천원으로 2.7배로 느는데 그쳤다.

상위 20% 가구의 부채는 가구당 56만2천원에서 124만1천원으로 67만9천원 증가했다.

임시ㆍ일용직 가구가 증권투자금으로 대출한 금액은 1만1천원에서 14만6천원으로 1,181%의 증가율을 기록했고, 이어서는 자영업자(876%), 기타 무직(415%) 등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상용근로자의 관련 부채 증가율은 28.4%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최근 일부 수출업체를 제외한 대부분 기업이 침체에 빠지면서 취약계층의 소득이 불안정해진 것을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한양대 경제학과 하준경 교수는 "수입이 적고 불안정한 가구에서 증권투자 목적의 대출이 많이 늘어났다"면서 "줄어든 소득을 (주식ㆍ선물 투자를 통해) 어떻게든 보충해 보려는 고수익 추구 경향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경기 침체에 단타투자 '유혹'…자금조달기능 '위험'
빚까지 내서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사람이 늘었지만 정작 기업의 자금조달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식의 손바뀜을 나타내는 유가증권시장 일평균 주식회전율은 2010년 10월 29.3%에서 작년 12월 30.5%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월별 일평균 거래대금은 2010년 1월 6조2천억원에서 작년 12월 4조4천억원으로 29%나 줄었다.

작년 코스피 수익률이 부진했던 데다 중소형주 외에는 시장 주도주가 없었던 것을 생각하면 소형주 위주의 '단타 매매'에 취약 계층이 이끌렸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최근 '대선 테마주' 등이 기승을 부리는 데도 어느 정도 영향을 줬을 수 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대선 테마주 등 급등락을 보이는 종목을 분석해 보면 거액을 가진 작전세력이 아닌 다수의 개인 투자자로 이뤄져 있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런 단기 투자경향은 주식시장 본연의 기능인 기업의 자금 조달기능을 약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송민규 연구위원은 "대출한 자금으로 주식에 투자할 경우 만기 전에 자금을 회수해야 하기 때문에 투자 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다"면서 "대출을 해준 은행 등 금융기관 입장에서도 기업에 대한 자금을 지원할 여력이 일부 날아가는 셈이어서 기업 자금조달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청년ㆍ저소득층과 함께 고령ㆍ고소득층의 관련 대출도 많이 늘었지만 역시 시장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고령ㆍ고소득층은 소득 감소보다는 부동산 등 자산가격 하락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대출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홍성국 센터장은 "부동산 가격이 크게 떨어졌지만 당장 매각하기는 부담스러운 자산가들이 이를 담보로 일종의 '유동화'를 거쳐 주식에 투자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주식수익률로 자산가치 하락을 헤지한 셈"이라고 말했다.

◇빚낸 투자, 개인에게도 위험…'교육 절실'
저소득층이 빚까지 내서 증시에 뛰어드는 행위는 줄어든 소득을 보전하기는커녕 원금까지 날려 안 그래도 여유 없는 가계에 더 큰 짐을 지워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하 교수는 "금융투자는 자기 소득의 일정 부분을 떼어서 구성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라며 "돈을 빌려 투자하거나 자기 소득과 비교해 무리한 투자를 하면 금융시장의 충격에 심각하게 노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송 연구위원은 "하위 20%는 투기목적, 상위 20%는 부동산 등에 자금이 묶여서 대출이 늘었을 것이란 분석에 동의한다"면서 "대출 여부는 개인의 판단이지만 빚을 내서 주식 등에 투자하는 건 굉장히 안 좋은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는 "부모가 그렇게 한다면 도시락 싸들고 다니며 말릴 일"이라고도 말했다.

홍 센터장은 "투기성 단타매매로 일부 돈을 번 사람도 있겠지만 대다수는 자금을 날리게 된다"면서 복권이나 경마 개념으로 접근해선 안 된다고 당부했다.

전문가들은 주식시장이 개인의 자산형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본연의 기능도 다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올바른 금융투자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개인의 자산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바람직한 대출 및 투자를 조언하는 전문 서비스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홍 센터장은 "저금리에 돈을 불릴 투자처가 없는 상황에서 특히 저소득층은 투기심리에 이끌릴 가능성이 크다"며 "어릴 때부터 공공교육에서 자산 형성을 위해 금융시장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대로 교육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부동산 등 다른 투자수단의 수익률이 마땅치 않아 금융시장을 통하지 않고는 자산을 불리기 힘든 상황이 앞으로 지속될 것"이라면서 "체계적 금융교육 없이는 상하위층 간 빈부격차가 굳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송 연구위원은 "제대로 된 재무설계 서비스가 필요하다"면서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금융소비자보호법의 금융상품자문업자 제도가 대표적인데 하루빨리 통과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한혜원 기자 hwangch@yna.co.krhye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