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회복에 대비해 미리 마련해두는 '출구 전략(Exit Strategy)'이 당장 실행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황금단 삼성증권 연구원은 17일 "지금 당장 정부가 재정확대 정책을 중단하거나 금리인상 조치로 전환할 것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세가지 사유를 제시했다.

첫째는 아직은 경기회복 초기 단계에 있다는 점이다.
황 연구원은 "최근 발표된 제조업지수, 소매판매, 고용지표, 주택관련 지표 등이 개선되는 흐름을 보이고는 있지만 이제 바닥권에서 탈피하는 모습이지 정상 궤도에 오른 것과는 거리가 있고 또한 경제지표들끼리도 한 목소리로 회복을 얘기하기보다 아직 소음이 발생하는 처지에 있다"고 진단했다.

예를 들어 5월 ISM제조업지수는 나아졌지만 6월 엠파이어 스테이트지수(뉴욕주 제조업지수)는 뒷걸음질쳤고 4월 주택착공건수 및 기존주 택매매는 회복됏지만 6월 NAHB주택시장지수는 다시 나빠졌다.

두번째는 과거 경기부양 정책을 서둘러 철회했다가 경기침체가 장기화된 사례를 외면할 수 없어 정책입안자들이 관련 조치에 신중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이다.
미국은 1929년 재할인율을 계속 낮추다가 1930년 3월 금리인하를 중단하고 1931년에는 금리인상을 단행했는데 이때 대공황이라는 장기침 체에 빠졌다. 또 1980년 2차 오일쇼크 후유증으로 물가가 급등하자 연준이 정책금리를 17.5%까지 올렸는데 이때 경기는 더블 딥을 경험했다. 일본도 경기가 일시적으로 회복세를 보이자 2000년 8월 콜금리를 인상했다가 결국 경기침체를 장기화시키는 꼴이 됐다.

마지막으로 미 연준의 긴축 사이클 전환은 실업률 고점을 확인한 후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들었다.
1970년 이후 연방금리와 실업률 추이를 보면 1980년대 2차 오일쇼크를 제외하고 실업률이 상승하는 구간에서 금리를 올렸던 적은 한번도 없다. 경기후행지표인 실업률이 고점을 찍고 내려오기 시작했다는 것은 경기가 바닥을 통과했다는 강한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연준이 정책기조를 완화에서 긴축으로 전환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5월 실업률이 9.4%이고 향후 10%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 에서 바로 금리인상을 단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황 연구원은 설명했다.

그는 "주식 투자자라면 앞서 간 주가가 쉬는 차원에서 조정을 바라보는 것이 낫다고 판단된다"며 "외국인 및 프로그램 매매가 부정적인 만큼 매수는 한 템포 늦추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