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G가 미국의 기업사냥꾼인 칼 아이칸의 표적이 되면서 외국계 자본에 의한 적대적 인수·합병(M&A) 논란이 민영화된 공기업과 은행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포스코 KT는 물론 국민은행 등 정부 지분 매각이 끝난 은행들도 지배구조가 극히 취약,외국인의 적대적 M&A 위험에 노출돼있기 때문이다. 해당 기업들로선 외국계 펀드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지만 뾰족한 경영권 방어 수단이 없어 난감해하는 실정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T&G와 포스코 KT 등 민영화가 끝난 공기업들의 단일 최대주주는 모두 외국계 펀드인 것으로 밝혀졌다. KT&G의 경우 현재 중소기업은행(지분율 5.85%)이 최대주주로 신고돼 있지만,사실상 최대주주는 지분 7.14%를 가진 미국계 프랭클린뮤추얼펀드다. 이 펀드는 템플턴 계열로 '경영 참여' 목적을 밝힌 상태다. 아이칸의 이번 지분(6.59%) 매입에 따라 경영 참여를 노리는 외국계 펀드가 모두 1,2대 주주가 됐다. 만약 이들이 연합할 경우 지분율은 13.73%로 KT&G측 우호지분인 15%에 육박한다. 포스코도 현재 형식상 최대주주는 국민연금(3.54%)이지만 실질 최대주주는 지분 5.72%를 갖고 있는 미국계 얼라이언스캐피털펀드다. 증권업계는 포스코의 현 경영진 우호지분이 13.36%에 불과해 M&A 위험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KT도 국민연금(3.63%)이 최대주주로 보고돼 있지만,1~3대 주주는 모두 외국인이다. 미국계 템플턴펀드가 경영 참가 목적으로 7.78%를,브랜디스인베스트먼트와 캐피털그룹이 각각 7.85%,6.10%를 보유 중이다. 국민은행은 캐피털(7.19%)과 프랭클린(5.76%)이 1,2대주주로 참여해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전이나 가스공사 중소기업은행도 정부 지분 추가 매각 과정에서 외국계 자본에 의한 적대적 M&A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최준선 성균관대 교수는 "유럽에선 오래 전 공공 성격이 강한 민영화된 공기업의 경영권 보호를 위해 황금주 제도를 도입했다"며 "우리도 대응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