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한투)과 대한투자증권(대투)에 대한공자금 투입 방법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뚜렷한 명분 없는 공자금 선(先) 투입보다 매각과 연계한 후(後) 투입 방식이바람직하다는 정부 방침에 후 투입으로는 효과가 반감될 우려가 있다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26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공자금 추가 투입이 매각과 동시에 진행되는 후 투입보다는 선 투입을 통한 경영 정상화 이후 매각을 추진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주장은 한투와 대투의 고위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공공연히 제기되면서 `공식 입장'으로 굳어가고 있다. 대투 고위 관계자는 "매각 협상 타결 후 공자금을 지원하는 매각 방식은 부실상태에서 협상이 진행되기 때문에 헐값 논란이 일 수 있다"고 전제하고 "협상 기간의 장기화로 영업 위축과 기업 가치 하락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선 투입이 이뤄지면 경영 정상화 달성으로 재무구조가 개선되고 공자금과 영업권을 감안한 공정한 시장 가격으로 매각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다소 시간이 걸리드라도 단계적인 매각으로 우월적인 입장에서 매각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투 고위 관계자도 "매각과 공자금 투입이 동시에 이뤄지면 협상 과정에서 공신력이 추락하고 시장 가치가 떨어지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말하고 "공자금을먼저 투입한 뒤 경영 정상화를 통해 제 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제시했다. 이들은 아울러 2000년 첫 공자금 투입 당시 여전히 5천억원 가량의 자기자본 잠식과 2조원 가량의 차입금을 안고 있었던 점을 상기시키고 공자금 지원 규모가 은행권에 비해 부족해 조속한 정상화에 애로를 겪었던 시행착오가 다시 반복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정부는 한투와 대투에 대해 공자금 후 투입 방식을 택할 방침임을 재확인했다. 앞서 변양호 재경부 금융정책국장은 전날 "금융시장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국내외 매각을 통해 두 회사(한투.대투)를 처리하고 필요한 자금을 공자금으로 지원하는방안을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또 다음달 매각 주간사를 선정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우선 협상 대상자를 지명하는 등 일정이 빠듯하고 투입될 공자금도 예보채 차환 발행 등을 통해 조성해야 하는상황임을 고려할 때 `선 투입'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투증권 매각으로 1조5천억원 가량의 손실이 국민 부담으로 돌아갈 것으로 추산되면서 `헐값' 시비가 일고 있는 만큼 한투와 대투에 대한 추가 공자금 투입의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한승호기자 h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