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환율 변동폭이 전년에 비해 확대됐음에도 불구, 외환손실액이 절반 이하로 준 것은 무엇보다 국내 기업들의 환위험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외환위기 이후 환위험에 대한 관리 필요성을 그만큼 절감하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리스크 관리를 위한 컨설팅 업체들이 대거 등장하는 등 기업차원의 환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외환 인프라가 확충된 것도 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국내 기업들의 고질적인 문제점이던 미 달러화 일변도의 외환관리도 크게 개선되고 있다. 한때 90%를 넘어섰던 달러화 보유 비중이 최근에는 75% 내외로 떨어진 상태다. 정책당국의 노력도 한몫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국내 기업들의 환차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4월부터 시행해 오고 있는 '기업 외환 리스크 관리제도'가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관련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금감원 박동순 국제업무팀장은 "앞으로 외환관리시스템을 활용하는 기업이 늘어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환위험 관리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은 민간기업의 마인드 전환"이라고 말했다. 한상춘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