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에서 역사적인 "6.15 공동선언문"을 만들어낸지 한 달이 지났다.

그 때의 들뜬 분위기는 말끔히 사라졌으며 남북한은 과거와는 다른 모습으로 새로운 남북관계 정립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상회담의 첫 가시적 성과인 이산가족 상봉이 오는 8월15일 이뤄진다.

남과 북에서 1백명씩의 고향방문단이 혈육과 해후하게 된다.

휴전선에서의 상호비방이 그쳤고,남북 적십자회담개최등 정상간 합의사항이 하나씩 실천에 옮겨지고 있다.

북한이 표류하던 남한 어선을 즉각 송환하는가 하면 매년 6월마다 북한 꽃게잡이 어선의 출몰로 야기된 서해연안 긴장사태가 올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북한이 6.25 전승기념 행사를 취소한 것등은 평양측의 달라진 모습이다.

북한은 올해 광복절 범민련행사에 남쪽의 한총련간부등을 초청하지 않았다.

김대중 대통령은 "남북공동선언" 발표 1개월을 맞아 분단 55년의 벽을 허문 남북정상회담 성과가 착실히 이행되고 있는 것을 높이 평가한후 다음 단계의 구상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청와대는 남북간 고위당국자 회담을 조속히 성사시켜 경제협력과 군사신뢰 구축 등 다음 단계의 후속조치들을 착실히 발전시켜 나간다는게 대통령의 기본 구상이라고 설명했다.

박준영 청와대 대변인도 "우리는 당장의 통일보다는 화해협력을 통해 전쟁의 공포없이 상호공존하며 민족의 번영을 이루자는 정신에 따라 공동선언을 착실하게 진전시켜 나갈 것이고 북한도 그럴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청와대의 고위 관계자는 "남북간의 제반협력 문제를 다루게 될 고위당국자 회담이 이달 중 열리게 될 것"이라면서 "현재 남북간에는 공식,비공식 채널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물밑대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와함께 최근 헌법 영토조항 개정이나 국가보안법 개폐 논란,한나라당 의원의 친북발언 파문 등은 정상회담 이후의 남북관계 변화과정에서 거쳐야 할 통과의례라는 인식 아래 다양한 의견수렴과 토론을 통해 국론이 자연스럽게 모아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정상회담 이후 우리 쪽에서 일부 논란이 있지만 이는 55년 냉전사를 청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진통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영근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