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이해가 가지 않는다"

최근 동원증권의 KTB네트워크에 대한 적대적 M&A(기업인수합병)설에 대해 KTB네트워크 관계자들은 어이가 없다는 표정이다.

가능하지도 않은 M&A가 설로 퍼지고 이에 따라 주가가 춤을 추는 게 납득할 수 없다는 얘기다.

KTB네트워크에 대한 적대적 M&A설은 건설업체인 태영과 동원증권 등이 KTB주식을 대량으로 매집하면서 불거져 나왔다.

현재 태영은 5%,동원증권은 10%의 KTB지분을 사들였다.

동원증권의 경우 동원창투 등 우호지분을 포함하면 30%정도의 지분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니 M&A공격이라는 얘기가 나올 만도 했다.

하지만 KTB네트워크의 지분구조를 뜯어보면 적대적 M&A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적대적 M&A를 하려면 주총에서 대표이사 해임 등 특별결의를 해야 한다.

특별결의는 총 주식의 3분의 1이상의 주주가 참석한 가운데 그중 3분의 2가 찬성해야 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상대방보다 2배 이상의 지분을 쥐고 있어야 가능하다는 게 정설이다.

KTB측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분이 25%에 달하므로 동원증권측은 50%를 가져야 한다는 계산이다.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런데도 주식시장에선 KTB네트워크에 대한 적대적 M&A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동원증권이 "단순한 투자 차원에서 KTB주식을 사들였다"고 해명했지만 아랑곳 않는다.

때문에 지난달말 6천원대이던 KTB네트워크의 주가는 최근 1만3천원대로 2배 이상 뛰었다.

그래서 일부에선 가능하지도 않은 M&A설을 퍼뜨려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 올리려는 "세력"이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KTB네트워크와 동원증권엔 상대방의 정보를 흘려주며 싸움을 부추기는 세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M&A는 시장논리상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특히 벤처업계의 M&A는 사업적 재무적 시너지 효과를 올려 시장을 발전시키는 영양제가 된다.

정부가 내달부터 사모펀드를 허용해 적대적 M&A의 여지를 넓혀준 것도 그런 취지다.

그러나 M&A를 가장한 인위적 주가 부양은 "작전"과 다를 바 없다.

그같은 작전은 역기능만 낳을 뿐이다.

시장 질서만 문란케 할 것이란 뜻이다.

이때 피해자는 지분 방어에 몰두해야 할 벤처기업과 소액주주들일 게 뻔하다.

M&A를 시장의 진정한 활력소로 만들려면 "M&A작전"은 철저히 경계해야 한다.

차병석 벤처중기부 기자 chabs@ 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