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상장기업의 자사주 소각은 이사회 결의만으로도 가능하다는 유권해석을 내림에 따라 자사주 소각에 나서는 기업이 잇따를 전망이다.

특히 12월말 결산 상장법인들의 경우 3월 주총에서 관련조항을 정관에 마련하는 기업이 속속 생겨날 것으로 관측된다.

현행 상법에는 주주에게 배당할 이익으로 주식을 소각할수 있다는 정관을 둔 기업의 경우 주총 특별결의를 거치지 않아도 주식을 소각할수 있다.

그러나 이 정관을 두지 않은 기업의 경우 소각을 위한 필수절차로 주총을 치러야 한다.

주총을 치른다면 주주들의 참석여부에 따라 소각안건이 부결될수도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주가관리를 위한 것이라면 관련 정관을 두고 이사회 결의만으로 소각을 결정하는게 훨씬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당장 쌍용중공업이 오는24일 정기주총에서 이익소각 관련 조항을 정관에 마련할 예정이다.

새한정기 현대자동차 담배인삼공사등 자사주 소각을 하겠다고 이미 밝힌바 있는 기업들도 절차상 편의를 구하기 위해 이번 주총에서 정관변경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또 현대상사 금강 현대미포조선 서흥캅셀 현대중공업 SK가스 율촌화학 이건산업 코오롱 종근당 현대화재 신도리코 애경유화등 자사주를 취득중이거나 취득키로 한 기업도 정관변경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주주들 입장에서도 배당보다 자사주 소각이 낫다는 입장이다.

현재 대부분의 기업들은 액면가를 기준으로 배당을 실시하고 있어 주가에 비해 배당금이 지나치게 적다.

삼성전자의 경우 1주의 싯가가 25만~30만원을 오르내리는데 배당금은 1주당 2천5백원에 불과하다.

"쥐꼬리"만한 배당금을 받느니 차라리 주식수를 줄여 1주당 주식가치를 높이는게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해외의 경우도 자사주 소각이 주가관리의 유력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10년동안 1백20억달러(약 13조2천억원)를 들여 자사주를 소각했다.

또한 8차례 주식분할을 통해 주가를 10배 이상 높였다.

주주들의 이익을 극대화한다는 취지로 배당금을 늘리는 것보다 주가를 높이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