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전문가들의 이목은 9일 오전에 열리는 ''청와대 경제장관 회의''에
집중돼 있다.

그동안 기대됐던 ''굼리인하'' 방안이 제외된다는 소문이 나돌자 8일
주식시장이 심하게 출렁거리는 등 반응도 민감하다.

지난달초의 "9.3 경제대책"의 후속탄으로 나오는 이 회의의 주제는
"경쟁력 10% 높이기".

회의가 열리는 자체만으로도 우선 "그동안 주식시장에서 경기불안감이
가중되던 차에 정부에서 경기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자체가 호재로 작용하는
양상"(김기안 LG증권 투자전략팀장)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정부에서 내놓을 방안들이 직접적인 경기부양책은 아니라 하더라도
기대감은 줄수있다는 지적이다.

또 전반적인 생산성을 높이려는 정책의 효과는 1년정도의 시간을 두고
경제지표와 주식시장에 반영된다는 견해도 있다.

대우경제연구소의 신성호 연구위원은 "지난 70년이후의 경기대책과
주가흐름을 살펴보면 경기대책 발표전후엔 주가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1년정도 후에는 경기수준이 만족할 만큼 회복되지 않았더라도
평균 27%가량 올랐었다"고 지적했다.

또 그동안의 경기대책은 일차적으로 수출업종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돼
왔다는 것이 신연구위원의 지적이다.

이번의 경우에도 재할인율 인하 등을 통한 금리안정이나 임금및 물가안정을
바탕으로 수출업종이 경쟁력 향상의 선두에 나설 것이라는 얘기다.

수출업종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경쟁력을 키운 다음에야 내수업종으로
확산된다는 점을 투자자들이 눈여겨 보아야 한다는 것.

특히 금리인하가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선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공감하는 대목이다.

금리가 1%포인트 내리면 상장사들의 경상이익은 7%가량 늘어난다는
점에서다.

때문에 경쟁력 제고방안에 따른 당장의 관심은 금리인하의 혜택을 받는
종목이라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대신경제연구소의 이교원 이사는 "경기회복에 무게를 두는 정책은 일단
금리인하가 뒷받침돼야 한다"면서 "금리하락의 직접적인 수혜종목은
금융비용부담이 큰데다 그동안 낙폭이 컸던 저가대형주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손희식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