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기대감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고개를 들며 7일 국고채 금리가 일제히 상승했다.
금리 상승은 안전자산인 채권가격의 하락을 뜻한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6.8bp(1bp=0.01%포인트) 오른 연 4.186%에 장을 마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4.258%로 7.6bp 상승했다.
5년물과 2년물은 각각 8.4bp 상승, 6.3bp 상승으로 연 4.284%, 연 4.248%에 마감했다.
20년물은 연 4.223%로 8.8bp 올랐다.
30년물과 50년물은 각각 8.0bp 상승, 7.5bp 상승으로 연 4.174%, 연 4.124%를 기록했다.
이날 91일물 기업어음(CP) 금리도 전 거래일보다 6.0bp 상승한 연 4.94%로 집계돼 연중 최고치를 갈아 치웠다.
회사채 무보증 3년 AA- 등급 금리는 연 5.662%, 회사채 무보증 3년 BBB- 등급 금리 역시 연 11.511%로 전 거래일 대비 각각 7.1bp, 7.3bp 상승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중국 당국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완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며 "채권·주식·환율시장 전반에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짙어진 하루였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시장은 전반적으로 위험자산 선호가 살아나는 모습이 완연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3.36포인트(0.99%) 오른 2,371.79에 장을 마쳤으며,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18.0원 내린 1,401.2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는 달러당 1,400원선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다.
아울러 조 연구원은 "오늘 외국인들이 국채 선물을 상당 규모로 매도한 점도 금리 상승의 원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앞서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가 지난 2일 회의에서 방역 관련 통제의 범위를 최소화하고 '정밀 방역'이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는 사실이 지난 4일자 중국 관영지 글로벌타임스를 통해 보도되자, 시장에서는 중국의 고강도 '제로 코로나' 정책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퍼졌다.
이후 지난 5일 중국 국가질병통제국이 방역 관련 기자회견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 방향을 고수하되 방역을 정밀화·과학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음에도 시장의 관련 기대감은 유지됐다.
오는 3월 취임하는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내정자(사진)가 첫 행보로 노동조합을 찾았다. 관료 출신으로 내정돼 '관치 인사' 논란이 일고 있는 만큼 노조를 찾아 직접 소통하고 협조를 당부하기 위한 취지라는 분석이 나온다.9일 금융계에 따르면 임 내정자는 이날 오전 서울 회현동 우리금융 본사에 있는 노동조합 사무실을 방문했다. 박봉수 우리은행 노조위원장은 '우리 직원을 제일 먼저 만나고 싶다'는 임 내정자의 요청을 받은 뒤 이를 수락했다. 앞서 임 내정자와 노조는 지난 7일 외부에서 한 차례 회동한 데 이어 이날 노조 사무실에서 면담했다.박 위원장은 임 내정자에게 "지배구조 변화 과정에서 우리 직원들과 회사는 많은 상처를 받았다"면서 "우리금융의 모든 임직원을 위해 모든 노력을 쏟아 달라"고 요청했다. 구체적으로는 △ 직원들을 존중하고 처우 개선에 협력할 것 △ 안정적인 지배구조를 구축하고 납득할 수 있는 비전 제시할 것 △ 계열사의 자율 경영을 보장할 것 △ 전문성, 공정성, 윤리성을 겸비한 사외이사를 선임할 것 등을 요구했다.박 위원장은 "민영화가 된 지 1년 만에 다시 최고경영자(CEO)가 외부 인사로 내정된 만큼 과거의 모습이 되풀이될까 걱정이 많았다"며 "면담에서 요청한 사항들을 임 내정자에게 약속받았다"고 했다.임 내정자는 "직원들과 노조의 상처와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면서 "임기 동안 그 누구보다도 우리금융 직원들을 사랑할 것이고, 그 누구보다도 직원들을 사랑했던 회장으로 기억되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부터 우리금융의 일원이 되겠다"고 약속했다.앞서 우리금융 임원후
BNK·DGB·JB금융 등 지방 금융지주 3사의 지난해 실적은 희비가 엇갈렸다. 주력 계열사인 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수익 증가 속에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증권과 보험 등 비은행 부문은 부진했다.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모기업인 JB금융지주는 지난해 사상 최대인 601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고 9일 공시했다. 전년(5066억원)보다 18.6% 늘어난 것으로 2013년 지주사 출범 이후 역대 최대 실적이다.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순이익은 전년보다 각각 33%, 13.5% 증가한 2582억원과 2076억원을 기록했다. JB금융이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은 증권과 보험 계열사가 없는 점도 실적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은행 실적 호조로 JB금융은 자본 대비 수익성을 나타내는 자기자본수익률(ROE)이 13.9%,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지 보여주는 총자산이익률(ROA)은 1.05%로 국내 금융지주 중 1위를 차지했다.대구은행을 자회사로 둔 DGB금융지주는 작년 순이익 4062억원을 올렸다고 이날 공시했다. 2021년 순이익(5031억원)에 비해 19.3% 감소했다. 계열사인 하이투자증권의 순이익이 376억원으로 전년 대비 77.1% 급감한 게 영향을 미쳤다.주식시장 거래 부진과 부동산시장 침체에 따른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문 수익 정체 등이 이유로 꼽힌다. 반면 대구은행의 작년 순이익은 전년보다 18.9% 늘어난 3925억원을 기록했다.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을 자회사로 거느린 BNK금융지주는 지난 2일 실적 발표를 통해 작년 순이익이 8102억원으로 전년(7910억원)보다 2.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순이익은 4558억원과 2790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3.2%와 21% 늘었다.하지만 BNK투자증권의 순이익은 50.6% 줄어든 573
은행 등 금융회사가 앞으로 신용도가 좋아진 대출자에게 금리인하 요구권을 신청하라고 선제적으로 안내할 전망이다. 고객의 요구를 받아들여 실제로 인하한 금리 평균값이 얼마인지도 이달부터 공시한다.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금리인하 요구제도 실효성 제고 방안을 9일 발표했다.취업이나 승진, 연봉 인상 등으로 신용 상태가 좋아진 차주는 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회사 상호금융회사 등에 금리를 내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금융위는 금융사 내부 신용등급이나 개인신용평가(CB) 점수가 오른 대출자를 선별해 반기에 1회 이상 선제적으로 금리인하 요구권을 안내하도록 했다.은행연합회 홈페이지 등에 공시하는 금리 인하 실적 내용도 구체화한다. 금융권은 현재 가계대출과 기업대출로 구분해 금리인하 요구권 신청 건수와 수용 건수, 수용률, 이자감면액(총액) 등을 공시하고 있다. 앞으론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을 신용대출, 담보대출, 주택담보대출 등 세후 항목별로 구분해 알린다. 또 비대면 신청률과 평균 인하 금리 폭을 추가로 공시하도록 했다.금리 인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면 그 사유도 좀 더 구체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은행권은 이달 말 공시하는 작년 하반기 비교공시부터 개선한 제도를 적용할 방침이다.이인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