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에 외환보유액 금융위기후 최대폭 감소…한은 "위기 아냐"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한달 새 200억달러 가까이 급감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치솟자 환율 방어를 위해 외환 당국이 달러화를 시중에 푼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세계 8위 규모로 충분한 수준인 만큼, 외환 위기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한은이 6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67억7천만달러로, 8월 말(4,364억3천만달러)보다 196억6천만달러나 줄었다.

금융위기 당시 2008년 10월(274억달러) 이후 1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킹달러'에 외환보유액 금융위기후 최대폭 감소…한은 "위기 아냐"
다만 과거와 비교해 외환보유액 규모 자체가 커졌기 때문에 9월 감소율(-4.5%)은 역대 32번째 수준에 불과하다.

외환보유액은 3월 이후 4개월째 감소세를 보이다가 7월 반등했지만 다시 8월과 9월 두 달 연속 줄었다.

한은은 외환보유액 감소 배경에 대해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 달러화 평가 절상에 따른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 감소 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외환당국은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 원화 가치를 방어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달러를 매도한다.

외환당국은 2분기에만 환율 방어에 154억900만달러를 사용해 2019년 외환시장 안정 조치 공개 이후 분기 중 역대 최대 달러 매도 개입에 나섰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40원까지 치솟으면서 3분기엔 이보다 더 큰 규모의 달러 매도 개입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날 한은은 이례적으로 설명회를 열었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외환보유액 감소 등으로 인한 외환위기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진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오금화 한은 국제국장은 "지난달 원·달러 상승 폭 등을 고려할 때 환율 방어가 성공적이었나"라는 질문에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특정 환율을 타깃이 아닌, 국내 외환시장에 수급 불균형이 있는 경우, 시장 기대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며 "쏠림현상을 완화해 외환 시장이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나눠보면 외환보유액의 91%를 차지하는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794억1천만달러)이 한 달 전보다 155억3천만달러 감소했다.

예치금(141억9천만달러)과 특별인출권(SDR·141억5천만달러), IMF(국제통화기금)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 권리인 'IMF 포지션'(42억3천만달러)도 각 37억1천만달러, 3억1천만달러, 1억달러 줄었다.

한은은 외환보유액이 앞으로 더 줄어들더라도 외환시장 쏠림 현상, 오버슈팅 등에 과감하게 대응해 적극적으로 달러 매도 개입에 나설 것이란 점도 강조했다.

오 국장은 "최근 환율 상승에 대한 기대로 수입업체는 당겨서 달러를 매입하고 수출업체는 좀 더 늦춰서 달러를 매도하는 경향이 있었다"며 "이에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개입을 한 것이고 그런 측면에서 스무딩 오퍼레이션(미세조정)에 의미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외환보유액 감소로 외환당국의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가 줄어들 것이란 우려에 대해선 "외환보유액은 최근과 같이 시장 변동성이 증폭되고 쏠림 현상이 나타날 때 활용하기 위해 비축한 것"이라며 "한은과 정부는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시장 안정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외환보유액 금감에도 한은은 외환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외환 보유액은 과거 가장 큰 폭의 감소가 있었던 시기(2008년 10월)와 비교해 두 배가 많을 정도로 충분한 규모라는 것이다.

오 국장은 "외환 보유액은 단기적 충격이 있을 때 충분한 규모의 예비적인 외환을 보유하고 있느냐가 적정성의 핵심인데 이를 고려하면 충분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2014년부터 순대외금융자산 보유국으로서 국내총생산(GDP)의 37%에 이르는 대외자산을 갖고 있고 단기외채 비율도 낮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지난달 말 신용평가기관 피치도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같은 신용등급 국가들과 비교해 건실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오 국장은 "외환위기 당시(2008년 3월∼11월) 외환보유액이 월평균 70억∼80억달러씩 감소했는데, 최근(2021년 10월∼2022년 9월) 감소 폭은 월평균 47억7천만달러로 외환위기 당시보다 작다"며 "외환위기라는 표현은 현재 우리나라 경제를 묘사하는데 그다지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8월 말 기준(4천364억달러)으로 지난 6월 9위로 내려간 뒤 3개월 만에 한단계 올라 8위로 올라섰다.

하지만 이는 다른 나라가 킹달러 현상에 자국의 통화 약세를 방어하느라 외환보유액을 대거 소진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중국과 일본은 8월에만 각각 492억달러, 310억달러 외환보유액을 소진했고 스위스(-107억달러), 러시아(-112억달러), 인도(-139억달러) 등도 외환보유액이 줄었다. 홍콩도 한달새 외환보유액이 100억달러 줄면서 순위가 9위로 내려갔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